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Cross Locking Apparatus for Doorlock
본 발명은 본체에 내장된 데드볼트와 스트라이커에 의하여 잠금 상태가 형성됨에 더하여 스트라이커의 내부에 형성된 추가구조와 잠금장치에 구비된 추가 체결수단의 결합에 의하여 교차 잠금 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도어록용 교차 잠금 장치를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본체에 추가 설치된 "ㄷ"형으로 된 회동간과, 상기 회동간의 회동시 걸림상태를 형성하며 데드볼트를 위한 관통공을 구비한 록킹월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데드볼트가 스트라이커에 결합되는 기본 잠금 상태에 더하여 회동간과 록킹월에 의한 결합상태가 교차하여 추가되므로 2중 잠금 상태에 더하여 교차 잠금 상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어서 어떠한 충격에도 체결 상태가 유지되므로 외력에 의한 변형이나 손상 가능성이 거의 없는 매우 견고한 잠금 상태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ross Locking Apparatus for Doorlock
본 발명은 본체에 내장된 데드볼트와 스트라이커에 의하여 잠금 상태가 형성됨에 더하여 스트라이커의 내부에 형성된 추가구조와 잠금장치에 구비된 추가 체결수단의 결합에 의하여 교차 잠금 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도어록용 교차 잠금 장치를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본체에 추가 설치된 "ㄷ"형으로 된 회동간과, 상기 회동간의 회동시 걸림상태를 형성하며 데드볼트를 위한 관통공을 구비한 록킹월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데드볼트가 스트라이커에 결합되는 기본 잠금 상태에 더하여 회동간과 록킹월에 의한 결합상태가 교차하여 추가되므로 2중 잠금 상태에 더하여 교차 잠금 상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어서 어떠한 충격에도 체결 상태가 유지되므로 외력에 의한 변형이나 손상 가능성이 거의 없는 매우 견고한 잠금 상태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ross Locking Apparatus for Doorlock
도어록용 교차 잠금 장치
2021-08-05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5B
LOCKS
,
Schlös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