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Water supply network automatic drain valve system based on monito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T monitoring-based automatic drain valve system for a top water pipe network, which can prevent impurities from flowing into homes, comprising: an automatic drain valve control device (10); a network (20); and a control management system server (30).
본 발명은 ICT 모니터링 기반의 상수관망 자동드레인 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드레인 밸브 제어장치(10), 네트워크(20) 및 통제관리 시스템 서버(30)를 포함하는 ICT 모니터링 기반의 상수관망 자동드레인 밸브 시스템(100)에 있어서, 자동드레인 밸브 제어장치(10)는, 자동드레인밸브(150); 기존 상수도관에 부단수공법으로 천공설치하여 관리 대상인 지관을 형성하며, 기존의 메인 상수도관에서 지관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지관으로 분기하는 영역의 수질정보와 수압정보를 감지하는 탁도감지센서(120) 및 수압감지센서(130)가 설치되는 새들분수전(110); 자동드레인밸브(150)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후방에 설치하여 수질값을 사전에 감지하여 드레인밸브 운전을 사전준비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탁도감지센서(120); 기존 상수도관에서 지관으로 흐르는 수압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압감지센서(130); 및 탁도감지센서(120)로부터 제공되는 수질정보를 출력하는 수질표시모듈, 수압감지센서(130)로부터 제공되는 수압정보를 출력하는 수압표시모듈, 우수관에 형성된 자동드레인밸브(150)의 후단에 형성된 유량계(160)로부터 제공된 유량정보를 출력하는 유량표시모듈을 포함하며, 각 모듈에서 출력하는 정보를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제관리 시스템 서버(30)와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여 제공하고 수질정보에 따라 자동드레인밸브(15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표시부(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속정체구간이나 탁수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시 지시부에서 자동드레인밸브에 전송되어 자동으로 이토하여 상수도관의 이물질과 탁수를 자동으로 배출하여 가정으로 유입되는 불순물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상하수관에 설치되는 퇴수(이토)밸브는 관리자가 문제가 있을때 마다 수동으로 개방하여 민원을 해결하는 방식에서 자동으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Water supply network automatic drain valve system based on monito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T monitoring-based automatic drain valve system for a top water pipe network, which can prevent impurities from flowing into homes, comprising: an automatic drain valve control device (10); a network (20); and a control management system server (30).
본 발명은 ICT 모니터링 기반의 상수관망 자동드레인 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드레인 밸브 제어장치(10), 네트워크(20) 및 통제관리 시스템 서버(30)를 포함하는 ICT 모니터링 기반의 상수관망 자동드레인 밸브 시스템(100)에 있어서, 자동드레인 밸브 제어장치(10)는, 자동드레인밸브(150); 기존 상수도관에 부단수공법으로 천공설치하여 관리 대상인 지관을 형성하며, 기존의 메인 상수도관에서 지관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지관으로 분기하는 영역의 수질정보와 수압정보를 감지하는 탁도감지센서(120) 및 수압감지센서(130)가 설치되는 새들분수전(110); 자동드레인밸브(150)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후방에 설치하여 수질값을 사전에 감지하여 드레인밸브 운전을 사전준비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탁도감지센서(120); 기존 상수도관에서 지관으로 흐르는 수압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압감지센서(130); 및 탁도감지센서(120)로부터 제공되는 수질정보를 출력하는 수질표시모듈, 수압감지센서(130)로부터 제공되는 수압정보를 출력하는 수압표시모듈, 우수관에 형성된 자동드레인밸브(150)의 후단에 형성된 유량계(160)로부터 제공된 유량정보를 출력하는 유량표시모듈을 포함하며, 각 모듈에서 출력하는 정보를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제관리 시스템 서버(30)와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여 제공하고 수질정보에 따라 자동드레인밸브(15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표시부(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속정체구간이나 탁수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시 지시부에서 자동드레인밸브에 전송되어 자동으로 이토하여 상수도관의 이물질과 탁수를 자동으로 배출하여 가정으로 유입되는 불순물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상하수관에 설치되는 퇴수(이토)밸브는 관리자가 문제가 있을때 마다 수동으로 개방하여 민원을 해결하는 방식에서 자동으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Water supply network automatic drain valve system based on monitoring
ICT 모니터링 기반의 상수관망 자동드레인 밸브 시스템
LEE HO GEON (author)
2021-10-18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G06Q
Datenverarbeitungssysteme oder -verfahren, besonders angepasst an verwaltungstechnische, geschäftliche, finanzielle oder betriebswirtschaftliche Zwecke, sowie an geschäftsbezogene Überwachungs- oder Voraussagezwecke
,
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SUPERVISORY OR FORECASTING PURPOSES
/
B01D
SEPARATION
,
Trennen
/
E03B
Anlagen oder Verfahren zum Gewinnen, Sammeln oder Verteilen von Wasser
,
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European Patent Office | 2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