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Emergency ladder for lift inside the bridge pyl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ergency ladder for a lift inside a bridge pylon to secure high safety by easily entering a ladder by opening one surface of a backrest provided on the ladder by a simple method when a cage of a lift lifted and lowered inside a pylon stops at an unexpected position. The emergency ladder for a lift inside a bridge pylon comprises: a footplate provided at a prescribed height in a space on one side inside a pylon of a bridge; a lift provided in a space on the other side inside the pyl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ootplate to allow a manager to step onto and down from the footplate; and a ladder having backrest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ylon or the footplate on the side on which the cage of the lift is positioned to prevent the body of the manager from pass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backrests. One surface of each backrest coming in contact with the cage includes a gate member wherein one end thereof is fixed or rotatable,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supported or detachable to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ly, even in a power outage or an emergency caused by using the lift provided on the pylon, the manager can secure high safety.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n ancillary effect of being easily applied to an existing pylon by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은 주탑(Pylon) 내부에서 승강되는 리프트(lift)의 케이지(cage)가 예기치 않은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 사다리에 구비되는 등받이 일면을 간단한 방식에 의해 개방하여 사다리 내로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교량의 주탑 내부의 일측 공간에 일정 높이로 구비되는 각각의 발판; 상기 발판의 반대 측 주탑의 내부의 타측 공간에 그 발판으로 관리자가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리프트; 및 상기 리프트의 케이지가 위치하는 측의 상기 각 발판 또는 주탑의 내면에 관리자의 몸이 빠지지 않게 일정간격으로 각각의 등받이가 구비되는 사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지와 접하는 각 등받이의 일면은 일단이 고정 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단은 받쳐 지지 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개폐되는 게이트(gate) 부재를 포함하는 교량 주탑 내부 리프트 비상용 사다리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주탑에 구비된 리프트 사용에 따른 비상 시 또는 정전시 등에도 관리자로 하여금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간단한 구조에 의한 기존의 주탑에도 적용이 용이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가진다.
Emergency ladder for lift inside the bridge pyl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ergency ladder for a lift inside a bridge pylon to secure high safety by easily entering a ladder by opening one surface of a backrest provided on the ladder by a simple method when a cage of a lift lifted and lowered inside a pylon stops at an unexpected position. The emergency ladder for a lift inside a bridge pylon comprises: a footplate provided at a prescribed height in a space on one side inside a pylon of a bridge; a lift provided in a space on the other side inside the pyl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ootplate to allow a manager to step onto and down from the footplate; and a ladder having backrest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ylon or the footplate on the side on which the cage of the lift is positioned to prevent the body of the manager from pass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backrests. One surface of each backrest coming in contact with the cage includes a gate member wherein one end thereof is fixed or rotatable,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supported or detachable to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ly, even in a power outage or an emergency caused by using the lift provided on the pylon, the manager can secure high safety.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n ancillary effect of being easily applied to an existing pylon by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은 주탑(Pylon) 내부에서 승강되는 리프트(lift)의 케이지(cage)가 예기치 않은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 사다리에 구비되는 등받이 일면을 간단한 방식에 의해 개방하여 사다리 내로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교량의 주탑 내부의 일측 공간에 일정 높이로 구비되는 각각의 발판; 상기 발판의 반대 측 주탑의 내부의 타측 공간에 그 발판으로 관리자가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리프트; 및 상기 리프트의 케이지가 위치하는 측의 상기 각 발판 또는 주탑의 내면에 관리자의 몸이 빠지지 않게 일정간격으로 각각의 등받이가 구비되는 사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지와 접하는 각 등받이의 일면은 일단이 고정 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단은 받쳐 지지 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개폐되는 게이트(gate) 부재를 포함하는 교량 주탑 내부 리프트 비상용 사다리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주탑에 구비된 리프트 사용에 따른 비상 시 또는 정전시 등에도 관리자로 하여금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간단한 구조에 의한 기존의 주탑에도 적용이 용이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가진다.
Emergency ladder for lift inside the bridge pylon
교량 주탑 내부 리프트 비상용 사다리
KIM YOUN HO (author)
2021-10-25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