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본 발명은 도자기를 효과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도자기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성형장치는 전면 상하측에 상하측지지부(11a,11b)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본체(11)와, 상기 하측지지부(11b)의 상측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12a)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12)와, 하측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측지지부(11a)의 하측면에 고정된 상부지지케이스(13)와, 상기 상부지지케이스(13)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측면에 성형부(14a)가 형성된 상부성형틀(14)과,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대(12)의 상면에 구비되는 하부지지케이스(15)와, 상기 하부지지케이스(15)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성형부(16a)가 형성된 하부성형틀(16)과, 상기 상부지지케이스(13)와 하부지지케이스(15)에 연결되어 상하부성형틀(14,16)의 성형부(14a,16a)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20)과, 상기 급기수단(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6)을 이용하여, 정해진 형태의 점토성형물(6) 만이 배출됨으로, 하부형틀(3)을 반복적으로 교체 및 운반하여야 하는 종래의 도자기 성형장치에 비해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속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자기를 효과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도자기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성형장치는 전면 상하측에 상하측지지부(11a,11b)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본체(11)와, 상기 하측지지부(11b)의 상측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12a)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12)와, 하측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측지지부(11a)의 하측면에 고정된 상부지지케이스(13)와, 상기 상부지지케이스(13)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측면에 성형부(14a)가 형성된 상부성형틀(14)과,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대(12)의 상면에 구비되는 하부지지케이스(15)와, 상기 하부지지케이스(15)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성형부(16a)가 형성된 하부성형틀(16)과, 상기 상부지지케이스(13)와 하부지지케이스(15)에 연결되어 상하부성형틀(14,16)의 성형부(14a,16a)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20)과, 상기 급기수단(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6)을 이용하여, 정해진 형태의 점토성형물(6) 만이 배출됨으로, 하부형틀(3)을 반복적으로 교체 및 운반하여야 하는 종래의 도자기 성형장치에 비해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속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porcelain forming apparatus
도자기 성형장치
KIM JIN GUK (author)
2021-12-08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forming mold for manufacturing porcelai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rcelain using the mold
European Patent Office |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