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RAINWATER TREATMENT DEVICE FOR ROAD USING VEGETATION ZONE
본 발명은 도로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도로용 우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단이 도로면과 수평을 이루는 높이의 제1 테두리를 형성하면서 지면상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플랜트를 수용하고, 상기 제1 테두리 일측면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제1 테두리 내에 충전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단과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트가 성장하도록 영양분을 공급하는 토양부; 상기 제1 테두리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높이와 수평대응하게 연장된 제2 테두리를 가지며, 상기 제2 테두리 일측면에 제2 관통홀을 갖는 전처리부; 및 내부에 중공을 갖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관통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단과 평행방향으로 상기 토양부에 매설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토양부 간의 단차로 형성되는 제1 저류공간과, 상기 제2 테두리 내에 형성되는 제2 저류공간을 통해 우수를 각각 유입시키면서 상기 유입된 우수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호 공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도로면과의 수두차를 보다 최소화하면서도, 우수량을 플랜트 층에 고루 분배하여 물순환 체계 구축을 개선하며, 투수기능을 통해 모기유충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고, 섬유볼여재가 적용된 전처리부의 전처리 기능을 통해 도로면 우수 내의 부유물질의 효율적인 정제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RAINWATER TREATMENT DEVICE FOR ROAD USING VEGETATION ZONE
본 발명은 도로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도로용 우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단이 도로면과 수평을 이루는 높이의 제1 테두리를 형성하면서 지면상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플랜트를 수용하고, 상기 제1 테두리 일측면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제1 테두리 내에 충전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단과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트가 성장하도록 영양분을 공급하는 토양부; 상기 제1 테두리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높이와 수평대응하게 연장된 제2 테두리를 가지며, 상기 제2 테두리 일측면에 제2 관통홀을 갖는 전처리부; 및 내부에 중공을 갖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관통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단과 평행방향으로 상기 토양부에 매설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토양부 간의 단차로 형성되는 제1 저류공간과, 상기 제2 테두리 내에 형성되는 제2 저류공간을 통해 우수를 각각 유입시키면서 상기 유입된 우수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호 공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도로면과의 수두차를 보다 최소화하면서도, 우수량을 플랜트 층에 고루 분배하여 물순환 체계 구축을 개선하며, 투수기능을 통해 모기유충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고, 섬유볼여재가 적용된 전처리부의 전처리 기능을 통해 도로면 우수 내의 부유물질의 효율적인 정제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RAINWATER TREATMENT DEVICE FOR ROAD USING VEGETATION ZONE
식생대를 활용한 도로용 우수처리장치
YANG WON CHUL (author) / KIM SANG DEOK (author)
2022-01-03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3F
SEWERS
,
Abwasserkanäle
Rainwater treatment system using vegetation and soil filtration
European Patent Office | 2024
Rainwater treatment system using vegetation and soil filtration
European Patent Office | 2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