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vertical angle compensator of pillar
본 발명은 수직도 보정장치가 구비된 기둥부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립되는 드릴비트와; 상기 드릴비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필요한 기둥부재의 높이를 담당하는 역할을 하며, 하단부의 일정 부분이 지중에 묻히는 하부기둥과; 상기 하부기둥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기둥을 지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지주판과; 상기 하부기둥의 상단에 나사결합되어 기둥의 높이 및 수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수직조정 커플링과; 일단은 상기 수직조정 커플링과 나사 결합되는 메인기둥과; 상기 수직조정 커플링의 일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관통결합되는 고정블록과;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상단부에서 우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연장형성되는 경사블록; 및 나사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블록의 전면으로부터 나사결합가능하게 끼워지면서 그 선단부가 상기 경사블록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정볼트;를 포함하여, 상기 조정볼트가 회전되면서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경사블록이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며, 상기 경사블록의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경사블록의 경사면과 접촉되도록 끼워져 있는 상기 메인기둥의 바닥면이 경사면 방향으로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상기 메인기둥의 경사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설되어 고정된 기둥부재의 수직도를 빠르고 간편하게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vertical angle compensator of pillar
본 발명은 수직도 보정장치가 구비된 기둥부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립되는 드릴비트와; 상기 드릴비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필요한 기둥부재의 높이를 담당하는 역할을 하며, 하단부의 일정 부분이 지중에 묻히는 하부기둥과; 상기 하부기둥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기둥을 지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지주판과; 상기 하부기둥의 상단에 나사결합되어 기둥의 높이 및 수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수직조정 커플링과; 일단은 상기 수직조정 커플링과 나사 결합되는 메인기둥과; 상기 수직조정 커플링의 일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관통결합되는 고정블록과;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상단부에서 우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연장형성되는 경사블록; 및 나사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블록의 전면으로부터 나사결합가능하게 끼워지면서 그 선단부가 상기 경사블록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정볼트;를 포함하여, 상기 조정볼트가 회전되면서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경사블록이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며, 상기 경사블록의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경사블록의 경사면과 접촉되도록 끼워져 있는 상기 메인기둥의 바닥면이 경사면 방향으로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상기 메인기둥의 경사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설되어 고정된 기둥부재의 수직도를 빠르고 간편하게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vertical angle compensator of pillar
수직도 보정장치가 구비된 기둥부재
JEON JEONG JIN (author) / KIM HYUNG SIK (author)
2022-01-06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2D
FOUNDATIONS
,
Gründungen
PILLAR WITH LOAD-BRANCHING NODES AND ADJUSTABLE RUN-OUT ANGLE
European Patent Office | 2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