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본 발명은 물 재활용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서, 식기 세척에 사용되는 수돗물의 순환 및 재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물 낭비를 감소시킴과 함께 수돗물의 활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기의 세척을 위한 세척조(11)가 구비된 싱크대 본체(10)와; 상기 싱크대 본체(10)의 세척조(11) 일측 저부에 구비되어 수돗물의 보관이 이루어지는 제1수조(20)와; 상기 제1수조(20)에 보관되는 수돗물이 제1펌프(P1) 구동에 의해 세척조(11)로 분출되는 제1 수도꼭지(30)와; 상기 제1 수도꼭지(30)를 통해 분출된 수돗물의 저수가 이루어지도록 세척조(11)의 타측 저부에 구비되는 제2수조(40)와; 상기 제2수조(40)에 보관되는 수돗물이 제2펌프(P2) 구동에 의해 세척조(11)로 재 분출되는 제2 수도꼭지(50)와; 상기 제2수조(40) 상부에 안착되는 거름망(60)과; 상기 제2수조(40)에 일정 높이로 구비되어 오버 플로우된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수관(7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 재활용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서, 식기 세척에 사용되는 수돗물의 순환 및 재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물 낭비를 감소시킴과 함께 수돗물의 활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기의 세척을 위한 세척조(11)가 구비된 싱크대 본체(10)와; 상기 싱크대 본체(10)의 세척조(11) 일측 저부에 구비되어 수돗물의 보관이 이루어지는 제1수조(20)와; 상기 제1수조(20)에 보관되는 수돗물이 제1펌프(P1) 구동에 의해 세척조(11)로 분출되는 제1 수도꼭지(30)와; 상기 제1 수도꼭지(30)를 통해 분출된 수돗물의 저수가 이루어지도록 세척조(11)의 타측 저부에 구비되는 제2수조(40)와; 상기 제2수조(40)에 보관되는 수돗물이 제2펌프(P2) 구동에 의해 세척조(11)로 재 분출되는 제2 수도꼭지(50)와; 상기 제2수조(40) 상부에 안착되는 거름망(60)과; 상기 제2수조(40)에 일정 높이로 구비되어 오버 플로우된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수관(7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ater recycling sink
물 재활용 싱크대
KIM KOOK HWAN (author)
2022-02-18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3C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
Hausinstallationen für Frisch- oder Abwasser
/
B01D
SEPARATION
,
Trennen
/
C09D
Überzugsmittel, z.B. Anstrichstoffe, Firnisse oder Lacke
,
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
H05B
ELECTRIC HEATING
,
Elektrische Heizung
Dehumidified water recycling system for sink using heater
European Patent Office | 2024
|SINK WATER STOP MATERIAL AND SINK WATER STOP STRUCTURE USING THEREOF
European Patent Office | 2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