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Quarantine system for electric road sweep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 of a quarantine system also used as an electric road sweep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concept of technology to temporarily mount on an electric road sweeper a system to spray disinfectant solution, and perform an environmentally-friendly part of the quarantine process to tackle COVID-19 and the like even in places where the general quarantine vehicles cannot easily enter. The conventional electric road sweeper is able to clean a narrow backside road and the like in normal times, but is not available for any other usage for internal and external quarantine, so the use of the road sweeper is limited. To address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mount an arch-shaped water spray bar on the rear side of the electric road sweeper, remodel a part of the conventional water spray system, input the electric road sweeper into places where the street cleaning part of the quarantine process has been conducted manually by personnel since the conventional large road sweeper vehicles could not enter those places, and perform an important part of the quarantine process by spraying disinfectant solution on streets.
본 발명은 전기 노면청소차 겸용 방역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노면청소차에 소독용액을 살수할 수 있는 방역시스템을 한시적으로 장착하여 일반 방역차량의 진입이 어려운 장소에서도 코로나 등에 대응하는 방역을 친환경적으로 시행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시된 전기 노면청소차는 평상시 좁은 이면도로 등의 청소작업은 가능하나, 단지 노면 청소의 용도로만 국한될 뿐 실, 내외의 방역작업을 위한 다른 용도로는 사용이 불가하여 노면청소차의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기 노면청소차의 후방에 아치형 살수바를 장착함과 아울러 기존의 살수시스템을 일부 개조하여 종래 대형의 방역 차량이 진입할 수 없어 인력에 의존하여 수동으로 방역작업을 시행하였던 곳에 전기 노면청소차를 투입하여 소독용액을 살포하면서 방역작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함을 특징으로 한다.
Quarantine system for electric road sweep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 of a quarantine system also used as an electric road sweep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concept of technology to temporarily mount on an electric road sweeper a system to spray disinfectant solution, and perform an environmentally-friendly part of the quarantine process to tackle COVID-19 and the like even in places where the general quarantine vehicles cannot easily enter. The conventional electric road sweeper is able to clean a narrow backside road and the like in normal times, but is not available for any other usage for internal and external quarantine, so the use of the road sweeper is limited. To address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mount an arch-shaped water spray bar on the rear side of the electric road sweeper, remodel a part of the conventional water spray system, input the electric road sweeper into places where the street cleaning part of the quarantine process has been conducted manually by personnel since the conventional large road sweeper vehicles could not enter those places, and perform an important part of the quarantine process by spraying disinfectant solution on streets.
본 발명은 전기 노면청소차 겸용 방역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노면청소차에 소독용액을 살수할 수 있는 방역시스템을 한시적으로 장착하여 일반 방역차량의 진입이 어려운 장소에서도 코로나 등에 대응하는 방역을 친환경적으로 시행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시된 전기 노면청소차는 평상시 좁은 이면도로 등의 청소작업은 가능하나, 단지 노면 청소의 용도로만 국한될 뿐 실, 내외의 방역작업을 위한 다른 용도로는 사용이 불가하여 노면청소차의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기 노면청소차의 후방에 아치형 살수바를 장착함과 아울러 기존의 살수시스템을 일부 개조하여 종래 대형의 방역 차량이 진입할 수 없어 인력에 의존하여 수동으로 방역작업을 시행하였던 곳에 전기 노면청소차를 투입하여 소독용액을 살포하면서 방역작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함을 특징으로 한다.
Quarantine system for electric road sweeper
전기 노면청소차 겸용 방역시스템
MIN GYOUNG RAK (author)
2022-04-27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