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본 발명은 데크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는 측면에 함몰된 오목홈(130)이 형성되고 지지부재(400)에 다수개가 평행하게 배치되는 데크(100), 지지부재(400)에 고정되는 베이스부(210),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베이스부(210)의 일단으로부터 지지부재(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오목홈(1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된 제1 측면부(220), 및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베이스부(210)의 타단으로부터 지지부재(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오목홈(1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된 제2 측면부(230)를 포함하고, 제1 측면부(220)는 제2 측면부(23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제2 측면부(2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제2 측면부(230)는 제1 측면부(22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제1 측면부(2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클립(200), 및 클립(200)을 지지부재(40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데크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는 측면에 함몰된 오목홈(130)이 형성되고 지지부재(400)에 다수개가 평행하게 배치되는 데크(100), 지지부재(400)에 고정되는 베이스부(210),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베이스부(210)의 일단으로부터 지지부재(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오목홈(1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된 제1 측면부(220), 및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베이스부(210)의 타단으로부터 지지부재(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오목홈(1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된 제2 측면부(230)를 포함하고, 제1 측면부(220)는 제2 측면부(23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제2 측면부(2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제2 측면부(230)는 제1 측면부(22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제1 측면부(2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클립(200), 및 클립(200)을 지지부재(40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300)을 포함한다.
Deck Assembly Structure
데크 조립 구조
KIM SEUNG HYUN (author)
2022-06-07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