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Agricultural water suppl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저수지(10)에 집수된 농업용수를 농지(20)에 농업용수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농업용수 자동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수지에 수면에 부상할 수 있는 3 개의 이상의 부구(100)가 구비된 부상체(200)와, 상기 부상체 중심부에 설치하되 여과된 농업용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다공판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농업용수 여과통(300)이 구비되되, 상기 농업용수 여과통(300)은 하부(310)에서 이물질이 흡입되지 않도록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측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볼트홀(321)에 구비된 플랜지(320)가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320) 외주면 일측에 수위측정 센서가 설치될 수 있는 센서홀(330)이 구비되며, 상기 농업용수 여과통(300)을 통해 여과된 농업용수를 농지(2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400)가 구비되고, 상기 농지(20)에는 농지의 농업용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논상태측정센서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논상태측정센서부(5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에 의해 상기 펌프(4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6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Agricultural water suppl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저수지(10)에 집수된 농업용수를 농지(20)에 농업용수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농업용수 자동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수지에 수면에 부상할 수 있는 3 개의 이상의 부구(100)가 구비된 부상체(200)와, 상기 부상체 중심부에 설치하되 여과된 농업용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다공판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농업용수 여과통(300)이 구비되되, 상기 농업용수 여과통(300)은 하부(310)에서 이물질이 흡입되지 않도록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측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볼트홀(321)에 구비된 플랜지(320)가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320) 외주면 일측에 수위측정 센서가 설치될 수 있는 센서홀(330)이 구비되며, 상기 농업용수 여과통(300)을 통해 여과된 농업용수를 농지(2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400)가 구비되고, 상기 농지(20)에는 농지의 농업용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논상태측정센서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논상태측정센서부(5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에 의해 상기 펌프(4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6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Agricultural water supply management system
농업용수 급수 관리시스템
2022-09-13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A01G
Gartenbau
,
HORTICULTURE
/
B01D
SEPARATION
,
Trennen
/
B63B
Schiffe oder sonstige Wasserfahrzeuge
,
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
E03B
Anlagen oder Verfahren zum Gewinnen, Sammeln oder Verteilen von Wasser
,
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F16L
PIPES
,
Rohre
/
G01F
Messen des Volumens, des Durchflussvolumens, des Massendurchflusses oder des Füllstandes
,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
G16Y
AGRICULTURAL WATER SUPPLY SYSTEM AND ITS DRAINAGE METHOD
European Patent Office | 2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