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door frame, which can adjust the width of a door frame, comprising: an internal frame installed along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an entrance of a wall; a front frame installed to cover a front surface and an upper front part of the internal frame; and a rear frame installed to cover a rear surface and upper rear part of the internal frame.
본 발명은 문틀의 시공시 벽체의 두께 편차나 경사도 편차에 대응하여 문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문틀에 관한 것으로서, 벽체의 출입구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내부프레임; 상기 내부프레임의 전면 및 상면 전부(前部)를 덮도록 설치되는 전방프레임; 및 상기 내부프레임의 후면 및 상면 후부(後部)를 덮도록 설치되는 후방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프레임은,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전면덮개부; 상기 전면덮개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면 전부(前部)를 덮도록 설치되는 제1상면덮개부; 상기 전면덮개부의 상단에서 상방 돌출형성된 수직돌출부; 및 상기 제1상면덮개부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돌출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수평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프레임은,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의 후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후면덮개부; 상기 후면덮개부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면 후부(後部)를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상면덮개부와 수평돌출부의 사이로 진입하게 되는 제2상면덮개부; 및 상기 후면덮개부와 제2상면덮개부가 이루는 모퉁이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면 후단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하부단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상면덮개부와 수평돌출부의 사이로 진입되는 상기 제2상면덮개부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이 이루는 폭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문틀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door frame, which can adjust the width of a door frame, comprising: an internal frame installed along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an entrance of a wall; a front frame installed to cover a front surface and an upper front part of the internal frame; and a rear frame installed to cover a rear surface and upper rear part of the internal frame.
본 발명은 문틀의 시공시 벽체의 두께 편차나 경사도 편차에 대응하여 문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문틀에 관한 것으로서, 벽체의 출입구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내부프레임; 상기 내부프레임의 전면 및 상면 전부(前部)를 덮도록 설치되는 전방프레임; 및 상기 내부프레임의 후면 및 상면 후부(後部)를 덮도록 설치되는 후방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프레임은,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전면덮개부; 상기 전면덮개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면 전부(前部)를 덮도록 설치되는 제1상면덮개부; 상기 전면덮개부의 상단에서 상방 돌출형성된 수직돌출부; 및 상기 제1상면덮개부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돌출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수평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프레임은,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의 후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후면덮개부; 상기 후면덮개부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면 후부(後部)를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상면덮개부와 수평돌출부의 사이로 진입하게 되는 제2상면덮개부; 및 상기 후면덮개부와 제2상면덮개부가 이루는 모퉁이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면 후단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하부단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상면덮개부와 수평돌출부의 사이로 진입되는 상기 제2상면덮개부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이 이루는 폭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문틀을 개시한다.
Variable door frame
가변형 문틀
LEE YEA CHAN (author)
2023-05-04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6B
Feste oder bewegliche Abschlüsse für Öffnungen in Bauwerken, Fahrzeugen, Zäunen oder ähnlichen Einfriedungen allgemein, z.B. Türen, Fenster, Läden, Tore
,
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