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Installation method of fire evacuation facility installed in outdoor room of high-rise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stalling a fire escape facility installed in an outdoor unit room of a high-rise building, which can prevent a falling accident during fire evacuation, comprising: a first step of embedding and fixing a floor slab side fixing means (3); a second step of fixing an upper fixing bracket (5) to a front surface of a second floor slab (S); and a third step of installing a lower fixing bracket (4) of a fire escape facility (2) on a front surface of a floor slab (S) of an n^th floor outdoor unit room.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 실외기실에 설치하는 화재 대피 시설의 설치 방법은 실외기실을 마주보는 고층 건물의 외벽(W)이 개방되고, 2층 이상의 실외기실의 바닥 슬래브(S)의 전면은 외부 노출되되 고층 건물의 외벽(W)면과 소정 깊이의 단차(段差)를 갖게 건설되며, 1층 바닥 슬래브(S)의 전단에는 1층 바닥 슬래브(S) 보다 높게 형성된 고정턱(1)이 골조 공사되되 상기 고정턱(1)의 외벽면은 고층 건물의 외벽(W)면과 단차가 없게 건설되는 고층 건물의 실외기실에 설치하는 화재 대피 시설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 고층 건물의 골조 공사시 2층 이상의 실외기실의 바닥 슬래브(S) 전면에 화재 대피 시설(2)을 고정시키기 위한 바닥 슬래브측 고정 수단(3)을 매립시켜 고정하는 제1 단계와; 승강 장치로 상기 화재 대피 시설(2)을 1층까지 들어올린 뒤 화재 대피 시설(2) 하부에 설치된 하부 고정 브라켓(4)을 실외기실을 마주보는 고정턱(1) 내벽면에 고정시키고 화재 대피 시설(2) 상부에 설치된 상부 고정 브라켓(5)을 바닥 슬래브측 고정 수단(3)을 통해 2층 바닥 슬래브(S)측 전면에 고정시키는 제2 단계; 및 상기 화재 대피 시설(2)을 승강 장치를 이용하여 한번에 1개씩 고층 건물의 2층부터 최상층까지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설치하되, 'n'층에 설치되는 화재 대피 시설(2)의 하부 고정 브라켓(4)은 'n-1'층에 설치되는 화재 대피 시설(2)의 상부 고정 브라켓(5)과 함께 바닥 슬래브측 고정 수단(3)을 통해 'n'층 실외기실의 바닥 슬래브(S) 전면에 설치하고, 'n'층에 설치되는 화재 대피 시설(2)의 상부 고정 브라켓(5)은 'n+1'층에 설치되는 화재 대피 시설(2)의 하부 고정 브라켓(4)과 함께 바닥 슬래브측 고정 수단(3)을 통해 'n+1'층 실외기실의 바닥 슬래브(S) 전면에 설치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다. 본 발명은 상층 화재 대피 시설(2)과 하층 화재 대피 시설(2)간에 높이 간격차를 최소화하여 화재 대피 중 추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Installation method of fire evacuation facility installed in outdoor room of high-rise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stalling a fire escape facility installed in an outdoor unit room of a high-rise building, which can prevent a falling accident during fire evacuation, comprising: a first step of embedding and fixing a floor slab side fixing means (3); a second step of fixing an upper fixing bracket (5) to a front surface of a second floor slab (S); and a third step of installing a lower fixing bracket (4) of a fire escape facility (2) on a front surface of a floor slab (S) of an n^th floor outdoor unit room.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 실외기실에 설치하는 화재 대피 시설의 설치 방법은 실외기실을 마주보는 고층 건물의 외벽(W)이 개방되고, 2층 이상의 실외기실의 바닥 슬래브(S)의 전면은 외부 노출되되 고층 건물의 외벽(W)면과 소정 깊이의 단차(段差)를 갖게 건설되며, 1층 바닥 슬래브(S)의 전단에는 1층 바닥 슬래브(S) 보다 높게 형성된 고정턱(1)이 골조 공사되되 상기 고정턱(1)의 외벽면은 고층 건물의 외벽(W)면과 단차가 없게 건설되는 고층 건물의 실외기실에 설치하는 화재 대피 시설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 고층 건물의 골조 공사시 2층 이상의 실외기실의 바닥 슬래브(S) 전면에 화재 대피 시설(2)을 고정시키기 위한 바닥 슬래브측 고정 수단(3)을 매립시켜 고정하는 제1 단계와; 승강 장치로 상기 화재 대피 시설(2)을 1층까지 들어올린 뒤 화재 대피 시설(2) 하부에 설치된 하부 고정 브라켓(4)을 실외기실을 마주보는 고정턱(1) 내벽면에 고정시키고 화재 대피 시설(2) 상부에 설치된 상부 고정 브라켓(5)을 바닥 슬래브측 고정 수단(3)을 통해 2층 바닥 슬래브(S)측 전면에 고정시키는 제2 단계; 및 상기 화재 대피 시설(2)을 승강 장치를 이용하여 한번에 1개씩 고층 건물의 2층부터 최상층까지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설치하되, 'n'층에 설치되는 화재 대피 시설(2)의 하부 고정 브라켓(4)은 'n-1'층에 설치되는 화재 대피 시설(2)의 상부 고정 브라켓(5)과 함께 바닥 슬래브측 고정 수단(3)을 통해 'n'층 실외기실의 바닥 슬래브(S) 전면에 설치하고, 'n'층에 설치되는 화재 대피 시설(2)의 상부 고정 브라켓(5)은 'n+1'층에 설치되는 화재 대피 시설(2)의 하부 고정 브라켓(4)과 함께 바닥 슬래브측 고정 수단(3)을 통해 'n+1'층 실외기실의 바닥 슬래브(S) 전면에 설치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다. 본 발명은 상층 화재 대피 시설(2)과 하층 화재 대피 시설(2)간에 높이 간격차를 최소화하여 화재 대피 중 추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Installation method of fire evacuation facility installed in outdoor room of high-rise building
고층 건물 실외기실에 설치하는 화재 대피 시설의 설치 방법
RYU SOON MO (author)
2023-08-30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