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Electronic door lock for lockers with pop-up handle
본 발명은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정역모터의 구동으로 '록(LOCK)' 또는 '언록(UNLOCK)' 작동하는 록커의 슬라이딩 동작과 함께 기구적으로 손잡이를 출몰 연동시켜 도어록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록(록커) 록킹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여 사물함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에 의하면; 사물함(1) 내벽에 설치되며 록킹구(111)가 마련되고 일측에는 마그네트(112)가 배치된 키퍼(110)와; 사물함(1)을 개폐하는 도어(2)의 배면부에 덮개패널(121)을 통해 상기 키퍼(110)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전장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부(122)가 마련된 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120)의 측면을 통해 출몰되어 상기 키퍼(110)의 록킹구(111)에 삽탈되며 길이방향으로 랙기어부(131)가 마련된 록커(130)와;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록커(130)의 랙기어부(131)와 이물림되는 피니언기어(141)가 회전축에 마련되며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록커(130)를 '록' 또는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정역모터(140)와; 상기 하우징(120)의 제어회로부(122)에 배치되며 사물함 도어(2)의 닫힘 시 상기 마그네트(112)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정역모터(14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록커(130)를 '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기 위한 자기센서(150)와; 상기 하우징(120)의 덮개패널(121)에 연계되면서 사물함 도어(2)에 천공된 관통홀(3)에 배치되며, 상기 록커(130)가 '록'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관통홀(3)에 수용되도록 후진되고, 상기 록커(130)가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관통홀(3)에서 사물함 도어(2)의 앞면으로 전진 돌출되어 손으로 잡고서 사물함 도어(2)를 개방할 수 있으며, 선단부에는 상기 제어회로부(122)와 접속된 알에프아이디 리더기(230)가 배치되어 사물함 도어(2)가 닫혀 상기 록커(130)가 '록'방향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에서 엘에프아이디 칩이 내장된 전자키(4)가 태그될 경우 상기 정역모터(14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록커(130)를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킬 수 있는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lectronic door lock for lockers with pop-up handle
본 발명은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정역모터의 구동으로 '록(LOCK)' 또는 '언록(UNLOCK)' 작동하는 록커의 슬라이딩 동작과 함께 기구적으로 손잡이를 출몰 연동시켜 도어록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록(록커) 록킹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여 사물함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에 의하면; 사물함(1) 내벽에 설치되며 록킹구(111)가 마련되고 일측에는 마그네트(112)가 배치된 키퍼(110)와; 사물함(1)을 개폐하는 도어(2)의 배면부에 덮개패널(121)을 통해 상기 키퍼(110)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전장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부(122)가 마련된 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120)의 측면을 통해 출몰되어 상기 키퍼(110)의 록킹구(111)에 삽탈되며 길이방향으로 랙기어부(131)가 마련된 록커(130)와;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록커(130)의 랙기어부(131)와 이물림되는 피니언기어(141)가 회전축에 마련되며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록커(130)를 '록' 또는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정역모터(140)와; 상기 하우징(120)의 제어회로부(122)에 배치되며 사물함 도어(2)의 닫힘 시 상기 마그네트(112)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정역모터(14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록커(130)를 '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기 위한 자기센서(150)와; 상기 하우징(120)의 덮개패널(121)에 연계되면서 사물함 도어(2)에 천공된 관통홀(3)에 배치되며, 상기 록커(130)가 '록'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관통홀(3)에 수용되도록 후진되고, 상기 록커(130)가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관통홀(3)에서 사물함 도어(2)의 앞면으로 전진 돌출되어 손으로 잡고서 사물함 도어(2)를 개방할 수 있으며, 선단부에는 상기 제어회로부(122)와 접속된 알에프아이디 리더기(230)가 배치되어 사물함 도어(2)가 닫혀 상기 록커(130)가 '록'방향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에서 엘에프아이디 칩이 내장된 전자키(4)가 태그될 경우 상기 정역모터(14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록커(130)를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킬 수 있는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lectronic door lock for lockers with pop-up handle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
SONG YOUNG HEE (author)
2024-03-06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Door lock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for lockers
European Patent Office | 2022
|Door lock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for lockers
European Patent Office |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