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본 발명은 어느 콘크리트파일의 일측에 형성되는 헤드캡과, 상기 콘크리트파일에 결합되는 다른 콘크리트파일에 결합되기 위한 연결링과, 상기 헤드캡과 연결링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와 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캡은 콘크리트파일의 상단에 씌워지는 파일결합링과, 상기 파일결합링의 상단에 용접되어 결합되고 소정 간격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강선결합공을 구비하는 도넛형상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단면 강선결합공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용접되는 다수개의 하부 결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링은 상기 헤드캡의 하부 결합부재에 각각 대응되는 상부 결합부재를 하단면에 구비하고, 상기 상부 결합부재 사이사이에는 콘크리트파일에 연결링을 볼트로 결합할 수 있도록 위한 다수개의 볼트결합공이 천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 결합부재와 하부 결합부재는 결합시 서로 맞뚫리도록 천공된 핀홀이 형성되어 상기 핀홀에 수평으로 삽입되는 핀에 의해 상부 결합부재와 하부 결합부재가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신속한 결합이 가능한 콘크리트파일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콘크리트파일을 연결할 때 신속하면서도 편리한 결합작업이 가능하고, 결합 이후 어느 하나의 콘크리트파일이라도 휘거나 꺽이더라도 결합부재와 핀의 결합에 의해 연결된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인명 피해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어느 콘크리트파일의 일측에 형성되는 헤드캡과, 상기 콘크리트파일에 결합되는 다른 콘크리트파일에 결합되기 위한 연결링과, 상기 헤드캡과 연결링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와 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캡은 콘크리트파일의 상단에 씌워지는 파일결합링과, 상기 파일결합링의 상단에 용접되어 결합되고 소정 간격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강선결합공을 구비하는 도넛형상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단면 강선결합공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용접되는 다수개의 하부 결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링은 상기 헤드캡의 하부 결합부재에 각각 대응되는 상부 결합부재를 하단면에 구비하고, 상기 상부 결합부재 사이사이에는 콘크리트파일에 연결링을 볼트로 결합할 수 있도록 위한 다수개의 볼트결합공이 천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 결합부재와 하부 결합부재는 결합시 서로 맞뚫리도록 천공된 핀홀이 형성되어 상기 핀홀에 수평으로 삽입되는 핀에 의해 상부 결합부재와 하부 결합부재가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신속한 결합이 가능한 콘크리트파일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콘크리트파일을 연결할 때 신속하면서도 편리한 결합작업이 가능하고, 결합 이후 어느 하나의 콘크리트파일이라도 휘거나 꺽이더라도 결합부재와 핀의 결합에 의해 연결된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인명 피해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신속한 결합이 가능한 콘크리트파일 연결구
IM YEONG JAE (author)
2024-07-19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2D
FOUNDATIONS
,
Gründun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