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Digital door lock with braille buttons for entering password on the side considering the finger position
본 발명은 문에 일체로 구성되어, 문을 잠그는 기능을 가지며,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잠금 해제 기능을 갖는 디지털도어록(10)에 있어서,상기 디지털도어록의 양측면(10a,10b)을 손으로 쥐듯이 잡았을 때, 일측 측면(10a)에 손가락 검지(11a), 중지(12a), 약지(13a), 소지(14a)가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비밀번호 입력용 숫자 점자 버튼(11,12,13,14)을 상기 손가락(11a,12a,13a,14a)에 대응하여 형성하고,타측 측면(10b)에 손가락 엄지(15a)가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비밀번호 입력용 특수기호 점자 버튼(15)을 상기 손가락 엄지(15a)에 대응하여 형성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시각 장애인이 잠긴 문을 열기 위해 디지털도어록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종래의 점자 표시가 없는 터치스크린 액정 방식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음에 따라, 이에, 디지털도어록(10) 양측면(10a,10b)으로, 손으로 쥐듯이 잡았을 때 각 손가락(엄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이 쉽게 닿을 수 있는 곳에,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숫자(11,12,13,14)와 특수기호(15) 점자 버튼을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시각장애인도 쉽게 디지털도어록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문을 열 수 있게 한 것이다.
Digital door lock with braille buttons for entering password on the side considering the finger position
본 발명은 문에 일체로 구성되어, 문을 잠그는 기능을 가지며,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잠금 해제 기능을 갖는 디지털도어록(10)에 있어서,상기 디지털도어록의 양측면(10a,10b)을 손으로 쥐듯이 잡았을 때, 일측 측면(10a)에 손가락 검지(11a), 중지(12a), 약지(13a), 소지(14a)가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비밀번호 입력용 숫자 점자 버튼(11,12,13,14)을 상기 손가락(11a,12a,13a,14a)에 대응하여 형성하고,타측 측면(10b)에 손가락 엄지(15a)가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비밀번호 입력용 특수기호 점자 버튼(15)을 상기 손가락 엄지(15a)에 대응하여 형성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시각 장애인이 잠긴 문을 열기 위해 디지털도어록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종래의 점자 표시가 없는 터치스크린 액정 방식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음에 따라, 이에, 디지털도어록(10) 양측면(10a,10b)으로, 손으로 쥐듯이 잡았을 때 각 손가락(엄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이 쉽게 닿을 수 있는 곳에,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숫자(11,12,13,14)와 특수기호(15) 점자 버튼을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시각장애인도 쉽게 디지털도어록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문을 열 수 있게 한 것이다.
Digital door lock with braille buttons for entering password on the side considering the finger position
손가락 위치를 고려한 측면 비밀번호 입력용 점자 버튼 구비한 디지털도어록
2024-12-19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5B
LOCKS
,
Schlösser
European Patent Office | 2024
|DIGITAL DOOR LOCK ASSEMBLY MOUNTED WITH BRAILLE BUTTON APPARATUS
European Patent Office | 2021
|Door lock password unlocking method, storage medium, password unlocking device and door lock
European Patent Office | 2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