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DIGGING BUCKET AND WORKING VEHICLE
굴삭 버킷(9)은, 바닥면부(32), 배면부(33) 및 측면부(34)를 가지는 버킷 본체(21)와, 립부(35)와, 브래킷(22)과, 투스(23)를 구비한다. 립부(35)는, 버킷 본체(21)에 있어서 배면부(33)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에지부에 고정된다. 브래킷(21)은, 암(8)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핀이 통과하는 구멍(38)을 가지고 있다. 측면에서 볼 때, 브래킷(22)의 구멍(38)의 중심과 립부(35)의 선단을 연결한 가상선(S1)의 길이를 리스트 반경(V)이라고 한다. 측면에서 볼 때, 가상선에 대하여 수직인 가상선으로부터 바닥면부까지의 선분 중 가장 긴 선분을 가상선(S4)으로 하고, 그 길이를 버킷 깊이 D라고 한다. 측면에서 볼 때, 립부(35)와 가상선(S1)에 의해 형성되는 각의 크기를 립각 θ라고 할 경우, 62°≤θ≤72°및 0.7≤D/V≤0.8을 만족시킨다.
DIGGING BUCKET AND WORKING VEHICLE
굴삭 버킷(9)은, 바닥면부(32), 배면부(33) 및 측면부(34)를 가지는 버킷 본체(21)와, 립부(35)와, 브래킷(22)과, 투스(23)를 구비한다. 립부(35)는, 버킷 본체(21)에 있어서 배면부(33)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에지부에 고정된다. 브래킷(21)은, 암(8)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핀이 통과하는 구멍(38)을 가지고 있다. 측면에서 볼 때, 브래킷(22)의 구멍(38)의 중심과 립부(35)의 선단을 연결한 가상선(S1)의 길이를 리스트 반경(V)이라고 한다. 측면에서 볼 때, 가상선에 대하여 수직인 가상선으로부터 바닥면부까지의 선분 중 가장 긴 선분을 가상선(S4)으로 하고, 그 길이를 버킷 깊이 D라고 한다. 측면에서 볼 때, 립부(35)와 가상선(S1)에 의해 형성되는 각의 크기를 립각 θ라고 할 경우, 62°≤θ≤72°및 0.7≤D/V≤0.8을 만족시킨다.
DIGGING BUCKET AND WORKING VEHICLE
굴삭 버킷 및 작업 차량
YOSHIDA TSUYOSHI (author) / AIRA TATSUO (author) / TANAKA DAIJIROH (author)
2015-06-10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2F
Baggern
,
DRED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