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pop-up valve with a sensor which can sav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the automatic pop-up valve with a sensor, which comprises: a power supply unit (10) composed of a sensor (11), power supply (12), a wire (13), a switch (14), or the like; a pop-up valve body unit (20) composed of a pop-up valve (21), a support (22), and a connection groove (23); a motor unit (30) composed of a motor (31), a wire connection screw (32), a rotation shaft (33), a winding bar (34), and a connection ring (35); and an operation unit (40) composed of a bracket (41), a level (42), and a weight (43).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센서(11)와 전원(12), 전선(13), 스위치(14) 등으로 구성된 전력공급부(10)와 팝업밸브(21),지지대(22), 연결홈(23)으로 구성된 팝업 밸브 본체부(20)와 모터(31), 전선 연결나사(32), 회전축(33), 감김대(34), 연결고리(35)로 구성된 모터부(30)와 받침대(41) 지렛대(42), 추(43)를 포함하는 작동부(40)를 포함하며, 평소에는 지렛대(42)의 중심부와의 길이의 차를 이용하거나 추(43)의 무게로 자동으로 밸브가 닫혀 있도록 구성하거나 평소에는 열려있다가 손이 가까이 오는 것을 센서가 감지하여 물이 나옴과 동시에 밸브가 닫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벨브가 잠기게 하고, 물을 자동으로 빠지게 하기 위해서는 전력 공급부에서 센서를 통해 물의 사용자 여부와, 사용자가 없는 상태에서 일정시간 이상 물이 고여있음을 감지하여 전력으로 팝업 밸브를 들어올려 물이 빠지게 하고, 물이 빠진 이후에는 추의 무게에 의하여 다시 밸브가 닫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센서는 손이 가까이 오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스위치가 열리고, 스위치가 열림에 따라 팝업밸브가 닫히고, 타이머가 동시에 작용하게 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만 물이 나오도록 구성하며, 손이 멀어진 것을 감지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팝업밸브가 열려 물이 빠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핍업밸브의 지지대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지렛대는 밸브 반대쪽의 거리를 중심점으로부터 더 멀게 하거나, 밸브반대 쪽에 추를 달아 무게가 더 나가게 하거나전기의 힘으로 닫히게 하는 세 가지 방법 중 적어도 한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구성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pop-up valve with a sensor which can sav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the automatic pop-up valve with a sensor, which comprises: a power supply unit (10) composed of a sensor (11), power supply (12), a wire (13), a switch (14), or the like; a pop-up valve body unit (20) composed of a pop-up valve (21), a support (22), and a connection groove (23); a motor unit (30) composed of a motor (31), a wire connection screw (32), a rotation shaft (33), a winding bar (34), and a connection ring (35); and an operation unit (40) composed of a bracket (41), a level (42), and a weight (43).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센서(11)와 전원(12), 전선(13), 스위치(14) 등으로 구성된 전력공급부(10)와 팝업밸브(21),지지대(22), 연결홈(23)으로 구성된 팝업 밸브 본체부(20)와 모터(31), 전선 연결나사(32), 회전축(33), 감김대(34), 연결고리(35)로 구성된 모터부(30)와 받침대(41) 지렛대(42), 추(43)를 포함하는 작동부(40)를 포함하며, 평소에는 지렛대(42)의 중심부와의 길이의 차를 이용하거나 추(43)의 무게로 자동으로 밸브가 닫혀 있도록 구성하거나 평소에는 열려있다가 손이 가까이 오는 것을 센서가 감지하여 물이 나옴과 동시에 밸브가 닫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벨브가 잠기게 하고, 물을 자동으로 빠지게 하기 위해서는 전력 공급부에서 센서를 통해 물의 사용자 여부와, 사용자가 없는 상태에서 일정시간 이상 물이 고여있음을 감지하여 전력으로 팝업 밸브를 들어올려 물이 빠지게 하고, 물이 빠진 이후에는 추의 무게에 의하여 다시 밸브가 닫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센서는 손이 가까이 오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스위치가 열리고, 스위치가 열림에 따라 팝업밸브가 닫히고, 타이머가 동시에 작용하게 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만 물이 나오도록 구성하며, 손이 멀어진 것을 감지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팝업밸브가 열려 물이 빠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핍업밸브의 지지대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지렛대는 밸브 반대쪽의 거리를 중심점으로부터 더 멀게 하거나, 밸브반대 쪽에 추를 달아 무게가 더 나가게 하거나전기의 힘으로 닫히게 하는 세 가지 방법 중 적어도 한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구성한다.
AUTO PUP-UP VOLVE WITH THE SENSER
센서를 구비한 자동팝업벨브
CHOE JAE YONG (author)
2015-10-19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3C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
Hausinstallationen für Frisch- oder Abwasser
Automatic window open-closing system with fine dust senser
European Patent Office | 2021
|3D PP/PS prestack depth migration on the Volve field
British Library Online Contents | 2007
|Automatic window open-closing system with fine dust senser
European Patent Office | 2021
Focus on Multi-component - 3D PP-PS prestack depth migration on the Volve field
Online Contents | 2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