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TRAVEL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주행 모터 유압 배관과 배관 덮개가 장애물과 충돌할 수 있는 위험을 저감할 수 있고,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주행 장치 및 그 주행 장치를 포함한 작업 기계가 제공된다. 중앙 프레임(14)과 주행 모터 부착 유닛(18) 사이에 주행 장치(12tr)의 주행 프레임(15)이 위치하게 된다.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가 차량의 중앙 측으로 확대되어 확대부(21)를 형성하게 된다.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이 삽입되는 장공(22)이 확대부(21)를 따라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에 형성된다.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은 중앙 프레임(14)의 단면 플레이트(14a)의 개방된 인출공(14b)에서부터 인출되어 상면 판(15a)의 장공(22)과 단면 플레이트(15b)의 개방된 장공(15c)을 거쳐 주행 모터 부착부(18) 속으로 삽입된다.
TRAVEL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주행 모터 유압 배관과 배관 덮개가 장애물과 충돌할 수 있는 위험을 저감할 수 있고,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주행 장치 및 그 주행 장치를 포함한 작업 기계가 제공된다. 중앙 프레임(14)과 주행 모터 부착 유닛(18) 사이에 주행 장치(12tr)의 주행 프레임(15)이 위치하게 된다.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가 차량의 중앙 측으로 확대되어 확대부(21)를 형성하게 된다.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이 삽입되는 장공(22)이 확대부(21)를 따라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에 형성된다.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은 중앙 프레임(14)의 단면 플레이트(14a)의 개방된 인출공(14b)에서부터 인출되어 상면 판(15a)의 장공(22)과 단면 플레이트(15b)의 개방된 장공(15c)을 거쳐 주행 모터 부착부(18) 속으로 삽입된다.
TRAVEL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주행 장치 및 작업 기계
MIYATA KAZUHISA (author) / IZAWA MICHIHIRO (author) / IMAGAWA MASAMITSU (author) / KIDOGUCHI SHUJI (author)
2016-08-01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HYDRAULIC DRIVING DEVICE OF TRAVELING-TYPE WORKING MACHINE
European Patent Office | 2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