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PC Construction technique of concrete structures through the Precast Concre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concrete building using precast concret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loor forming step (S10); a column arrangement step (S20); a girder arrangement step (S30); a beam arrangement step (S40); an assembly slab arrangement step (S50); and a slab forming step (S60).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ime consumed for constructing a building.
본 발명은 PC를 통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건축공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건축물 바닥의 뼈대에 해당하는 철근을 배치하고, 그 철근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다수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바닥을 형성하되, 바닥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연결봉이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바닥 형성단계(S10);와, 하부에 다수의 연결홈이 형성되는 조립기둥을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적층하여 상기 조립기둥의 연결홈으로 상기 연결부의 연결봉이 삽입되게 하여 상기 조립기둥을 고정하되, 상기 조립기둥의 하부 측면에 상기 연결홈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주입공으로 모르타르를 주입 양생시켜 상기 연결부에 조립기둥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기둥 배치단계(S20);와, 큰보를 상기 조립기둥의 상부에 적층 안치하되, 상기 큰보의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고리는 상기 조립기둥의 상부에 수직 돌출되는 연결철근에 내입되어 결속되고, 타단에 형성되는 결합고리는 다른 상기 조립기둥의 상부에 수직 돌출되는 연결철근에 내입되어 결속되어 상기 큰보가 조립기둥 상부에 안치 고정되도록 하는 큰보 배치단계(S30);와, 작은보를 상기 큰보의 상부에 적층 안치하되, 상기 작은보의 일단은 상기 큰보의 중심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내입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큰보와 마주보는 다른 상기 큰보의 중심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내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작은보 배치단계(S40);와, 조립 슬라브를 상기 큰보와 작은보의 상부에 적층 안치하는 조립 슬라브 배치단계(S50);와, 상기 조립 슬라브의 상부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슬라브를 형성하는 슬라브 형성단계(S60);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제작(양생)된 조립기둥, 큰보, 작은보 및 조립 슬라브를 건설현장으로 이송시킨 후에 간편히 조립기둥, 큰보, 작은보, 조립 슬라브를 순차적으로 조립 적층하는 건축공법으로 매우 간편하게 건물의 기둥과 보 및 슬라브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기둥과 보 및 슬라브을 구축하는데 소요되던 다양한 공정을 대폭 절감하여 건물을 건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정이 절감됨으로 인해 인력의 수요를 절감할 수 있어 적은 인력으로 신속한 건물의 건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큰보 및 작은보에 형성되는 제1배치철근과 조립 슬라브에 형성되는 제2배치철근을 통해 슬라브의 뼈대 기능을 하는 철근을 매우 간편히 배치 고정할 수 있어 슬라브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PC Construction technique of concrete structures through the Precast Concre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concrete building using precast concret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loor forming step (S10); a column arrangement step (S20); a girder arrangement step (S30); a beam arrangement step (S40); an assembly slab arrangement step (S50); and a slab forming step (S60).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ime consumed for constructing a building.
본 발명은 PC를 통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건축공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건축물 바닥의 뼈대에 해당하는 철근을 배치하고, 그 철근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다수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바닥을 형성하되, 바닥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연결봉이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바닥 형성단계(S10);와, 하부에 다수의 연결홈이 형성되는 조립기둥을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적층하여 상기 조립기둥의 연결홈으로 상기 연결부의 연결봉이 삽입되게 하여 상기 조립기둥을 고정하되, 상기 조립기둥의 하부 측면에 상기 연결홈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주입공으로 모르타르를 주입 양생시켜 상기 연결부에 조립기둥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기둥 배치단계(S20);와, 큰보를 상기 조립기둥의 상부에 적층 안치하되, 상기 큰보의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고리는 상기 조립기둥의 상부에 수직 돌출되는 연결철근에 내입되어 결속되고, 타단에 형성되는 결합고리는 다른 상기 조립기둥의 상부에 수직 돌출되는 연결철근에 내입되어 결속되어 상기 큰보가 조립기둥 상부에 안치 고정되도록 하는 큰보 배치단계(S30);와, 작은보를 상기 큰보의 상부에 적층 안치하되, 상기 작은보의 일단은 상기 큰보의 중심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내입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큰보와 마주보는 다른 상기 큰보의 중심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내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작은보 배치단계(S40);와, 조립 슬라브를 상기 큰보와 작은보의 상부에 적층 안치하는 조립 슬라브 배치단계(S50);와, 상기 조립 슬라브의 상부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슬라브를 형성하는 슬라브 형성단계(S60);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제작(양생)된 조립기둥, 큰보, 작은보 및 조립 슬라브를 건설현장으로 이송시킨 후에 간편히 조립기둥, 큰보, 작은보, 조립 슬라브를 순차적으로 조립 적층하는 건축공법으로 매우 간편하게 건물의 기둥과 보 및 슬라브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기둥과 보 및 슬라브을 구축하는데 소요되던 다양한 공정을 대폭 절감하여 건물을 건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정이 절감됨으로 인해 인력의 수요를 절감할 수 있어 적은 인력으로 신속한 건물의 건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큰보 및 작은보에 형성되는 제1배치철근과 조립 슬라브에 형성되는 제2배치철근을 통해 슬라브의 뼈대 기능을 하는 철근을 매우 간편히 배치 고정할 수 있어 슬라브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PC Construction technique of concrete structures through the Precast Concrete
PC를 통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건축공법
HWANG SEONG SEOP (author)
2017-04-18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PC Construction technique of concrete structures through the Precast Concrete
European Patent Office | 2018
CONCRETE FRAME AND PRECAST CONSTRUCTION - Precast concrete structures -- The semi-rigid approach
Online Contents | 2005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PRECAST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European Patent Office | 2022
|PRECAST STRUCTURES - Versatile precast concrete system answers construction challenges
Online Contents | 2006
|UB Braunschweig | 2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