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BAR SCREEN FOR DUST REMOVER
본 발명은 제진기 용 바 스크린에 있어서, 폭방향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머리부와 폭방향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꼬리부와 머리부와 꼬리부를 연결하는 이음부로 이루어지며, 이음부를 기점으로 머리부와 꼬리부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곡률이 형성됨에 따라 단면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머리부는 바 스크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꼬리부는 유수의 흐름 후방에 배치되어 바 스크린의 길이방향을 따라 물결모양이 형성되어 상기 머리부에서 발생한 와류를 잘게 나누어 수류의 저항을 감소시키고, 머리부의 곡률보다 꼬리부(14)의 곡률이 크게 형성되며, 꼬리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골과 산을 구비하고, 골에서 머리부의 종단 까지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홈이 형성되며, 산에서 머리부의 종단 까지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한다.
BAR SCREEN FOR DUST REMOVER
본 발명은 제진기 용 바 스크린에 있어서, 폭방향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머리부와 폭방향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꼬리부와 머리부와 꼬리부를 연결하는 이음부로 이루어지며, 이음부를 기점으로 머리부와 꼬리부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곡률이 형성됨에 따라 단면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머리부는 바 스크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꼬리부는 유수의 흐름 후방에 배치되어 바 스크린의 길이방향을 따라 물결모양이 형성되어 상기 머리부에서 발생한 와류를 잘게 나누어 수류의 저항을 감소시키고, 머리부의 곡률보다 꼬리부(14)의 곡률이 크게 형성되며, 꼬리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골과 산을 구비하고, 골에서 머리부의 종단 까지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홈이 형성되며, 산에서 머리부의 종단 까지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한다.
BAR SCREEN FOR DUST REMOVER
제진기 용 저압손형 바 스크린
KANG HIE CHAN (author) / KIM JONG HO (author)
2017-06-19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2B
HYDRAULIC ENGINEERING
,
Wasserb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