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torage furniture suitable for a living environment of a wheelchair user or an elderly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oove unit (11) into which a footrest of a wheelchair can be inserted is formed over the entire lower surface of storage furniture (10),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put in and out the furniture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wheelchair.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a handrail (21) can be changed to a desired one, there is an effect of easily forming the handrail at an optimum height for each person.
본 발명은 휠체어 이용자나 고령자의 생활 환경에 적합한 수납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휠체어의 풋레스트가 들어갈 수 있는 홈부(11)가 수납가구(10)의 하단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 휠체어를 타고도 가구의 전면에 걸쳐 용이하게 출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난간(21)의 높이를 원하는데로 바꿀 수 있으므로, 각각의 사람에 맞게 최적의 높이로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torage furniture suitable for a living environment of a wheelchair user or an elderly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oove unit (11) into which a footrest of a wheelchair can be inserted is formed over the entire lower surface of storage furniture (10),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put in and out the furniture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wheelchair.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a handrail (21) can be changed to a desired one, there is an effect of easily forming the handrail at an optimum height for each person.
본 발명은 휠체어 이용자나 고령자의 생활 환경에 적합한 수납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휠체어의 풋레스트가 들어갈 수 있는 홈부(11)가 수납가구(10)의 하단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 휠체어를 타고도 가구의 전면에 걸쳐 용이하게 출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난간(21)의 높이를 원하는데로 바꿀 수 있으므로, 각각의 사람에 맞게 최적의 높이로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Storage furniture
수납 가구
LEE EUN UK (author)
2018-08-08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