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losing device for a window,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part of a window lea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anging part (100) which is installed on a window leaf (20) coupled to a window frame (10) to be slidably opened and closed, and includes a hanging pin (110); a body part (200); and a driving part (300). By controlling a speed in a certain section when a window leaf is operated to be closed, the window leaf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trongly closed at a high speed by inertia. The window leaf can be partially opened and closed.
본 발명은 복합도르래모듈과 스프링 구조를 적용하여 슬라이딩 창호의 닫힘 조작 시 일정 구간에서 창짝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되, 소정 지점에서 창짝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짝의 부분 개폐가 가능한 창호용 자동닫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10)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창짝(20)에 설치되며, 걸림핀(110)이 구비되는 걸림부(100); 상기 창틀프레임(10)에 설치되는 본체부(200); 상기 본체부(200) 내의 가이드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상기 걸림핀(110)에 걸림 고정되는 후크(310)와, 상기 후크(310)의 슬라이딩 이동 시 와이어(327)를 매개로 연동될 수 있도록 본체부(200)의 일측에 고정도르래(321)와 움직도르래(325)를 혼합한 복합도르래모듈(320)이 설치되고, 본체부(200)의 타측에는 상기 움직도르래(325)와 연결되는 스프링(330)이 구비되는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상기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스프링(3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창짝(20)이 일정 구간에서 자동으로 닫히고, 창짝(20)의 개방 시 상기 복합도르래모듈(320)을 통해 스프링(330)을 인장시킴으로써 적은 힘으로 상기 창짝(20)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창짝(20)의 개폐 조작 시 이동되는 후크(310) 일면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창짝(20)이 소정간격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해주는 위치고정부(500);를 포함하는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losing device for a window,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part of a window lea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anging part (100) which is installed on a window leaf (20) coupled to a window frame (10) to be slidably opened and closed, and includes a hanging pin (110); a body part (200); and a driving part (300). By controlling a speed in a certain section when a window leaf is operated to be closed, the window leaf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trongly closed at a high speed by inertia. The window leaf can be partially opened and closed.
본 발명은 복합도르래모듈과 스프링 구조를 적용하여 슬라이딩 창호의 닫힘 조작 시 일정 구간에서 창짝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되, 소정 지점에서 창짝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짝의 부분 개폐가 가능한 창호용 자동닫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10)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창짝(20)에 설치되며, 걸림핀(110)이 구비되는 걸림부(100); 상기 창틀프레임(10)에 설치되는 본체부(200); 상기 본체부(200) 내의 가이드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상기 걸림핀(110)에 걸림 고정되는 후크(310)와, 상기 후크(310)의 슬라이딩 이동 시 와이어(327)를 매개로 연동될 수 있도록 본체부(200)의 일측에 고정도르래(321)와 움직도르래(325)를 혼합한 복합도르래모듈(320)이 설치되고, 본체부(200)의 타측에는 상기 움직도르래(325)와 연결되는 스프링(330)이 구비되는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상기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스프링(3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창짝(20)이 일정 구간에서 자동으로 닫히고, 창짝(20)의 개방 시 상기 복합도르래모듈(320)을 통해 스프링(330)을 인장시킴으로써 적은 힘으로 상기 창짝(20)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창짝(20)의 개폐 조작 시 이동되는 후크(310) 일면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창짝(20)이 소정간격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해주는 위치고정부(500);를 포함하는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창짝의 부분 개폐가 가능한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OH MYOUNG SEOK (author) / KIM SEONG JOONG (author) / LEE SEUNG JUNG (author)
2018-10-01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