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pole which can be folded and unfolded conveniently. The folding p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oles (50, 51) of a hollow tube shape; and a connective folding member (60) mounted between the poles (50, 51) to connect and fold the poles (50, 51)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ve folding member (6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member (61); a second connection member (62)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1); a third connection member (63)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62); a connection rod (64)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61, 62) to connect the third connection member (63)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62); and a foldable stopper member (65) for folding and unfolding the poles (50, 51).
본 발명은 접이식 폴대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중공된 관 형태를 갖는 복수 개의 일측 및 타측 폴대(50, 51)와, 상기 일측 및 타측 폴대(50, 51)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접을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 폴대(50, 51)의 사이에 설치된 연결접이부재(60)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접이부재(60)는, 상기 일측 폴대(50)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제1연결부재(61)와; 상기 제1연결부재(61)의 제1중앙수평홈(61a)에 제1일측판(62a)이 끼워져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62)와; 상기 제2연결부재(62)의 제1일측판(62a)의 반대측에 형성된 제1원통형상부(62b)의 중앙에 수평으로 형성된 제2중앙수평홈(62c)에 제2일측판(63a)이 끼워져 연결되고, 제2일측판(63a)의 반대측에 형성된 제2원통형상부(63b)에 상기 타측 폴대(51)가 연결되는 제3연결부재(63)와;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재(61, 62)의 제1 및 제2중앙수평홈(61a, 62c)에 대하여 수직으로 각각 관통 삽입되는 원형봉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1 및 제2일측판(62a, 63a)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경사홀(62d, 63c)에 삽입되어 제2 및 제3 연결부재(62, 63)를 연결하는 연결봉(64)과; 상기 일측 및 타측 폴대(50, 51)와 제 1 내지 제3연결부재(61, 62, 63)의 외주연에 끼워지는 중공의 원통형상 부재로서, 상기 제3연결부재(63)의 제2원통형상부(63b) 상에 돌설된 원형돌설봉(63d)이 삽입되어 상기 일측 및 타측 폴대(50, 51)가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스토퍼부재(6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일측 폴대와 타측 폴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내지 제3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폴대의 외주연에 설치된 스토퍼부재를 좌우로 이동하면서 폴대가 접혀지고, 펼쳐져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폴대를 접었다 폈다는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pole which can be folded and unfolded conveniently. The folding p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oles (50, 51) of a hollow tube shape; and a connective folding member (60) mounted between the poles (50, 51) to connect and fold the poles (50, 51)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ve folding member (6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member (61); a second connection member (62)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1); a third connection member (63)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62); a connection rod (64)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61, 62) to connect the third connection member (63)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62); and a foldable stopper member (65) for folding and unfolding the poles (50, 51).
본 발명은 접이식 폴대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중공된 관 형태를 갖는 복수 개의 일측 및 타측 폴대(50, 51)와, 상기 일측 및 타측 폴대(50, 51)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접을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 폴대(50, 51)의 사이에 설치된 연결접이부재(60)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접이부재(60)는, 상기 일측 폴대(50)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제1연결부재(61)와; 상기 제1연결부재(61)의 제1중앙수평홈(61a)에 제1일측판(62a)이 끼워져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62)와; 상기 제2연결부재(62)의 제1일측판(62a)의 반대측에 형성된 제1원통형상부(62b)의 중앙에 수평으로 형성된 제2중앙수평홈(62c)에 제2일측판(63a)이 끼워져 연결되고, 제2일측판(63a)의 반대측에 형성된 제2원통형상부(63b)에 상기 타측 폴대(51)가 연결되는 제3연결부재(63)와;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재(61, 62)의 제1 및 제2중앙수평홈(61a, 62c)에 대하여 수직으로 각각 관통 삽입되는 원형봉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1 및 제2일측판(62a, 63a)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경사홀(62d, 63c)에 삽입되어 제2 및 제3 연결부재(62, 63)를 연결하는 연결봉(64)과; 상기 일측 및 타측 폴대(50, 51)와 제 1 내지 제3연결부재(61, 62, 63)의 외주연에 끼워지는 중공의 원통형상 부재로서, 상기 제3연결부재(63)의 제2원통형상부(63b) 상에 돌설된 원형돌설봉(63d)이 삽입되어 상기 일측 및 타측 폴대(50, 51)가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스토퍼부재(6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일측 폴대와 타측 폴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내지 제3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폴대의 외주연에 설치된 스토퍼부재를 좌우로 이동하면서 폴대가 접혀지고, 펼쳐져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폴대를 접었다 폈다는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FOLDING POLES
접이식 폴대
BAE KEUN AH (author)
2019-03-18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4H
Gebäude oder ähnliche Bauwerke für besondere Zwecke
,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