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layer reef (1). The dual-layer reef (1) comprises: an outer structure (3) disposed outside and into which seawater can enter; and an inhabitation block (6) stacked vertically on the inside of the outer structure (3) and in which marine organisms live in each layer. The dual-layer reef (1) has an advantage of effectively preserving fish resources and marine resources by allowing different species of fish and marine plants to live in a limited reef space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by improving the structure into a dual-layer structure.
본 발명은 복층어초(1)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복층어초(1)는 외측에 배치되며 해수가 유입될 수 있는 외부 구조물(3)과; 외부 구조물(3)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며 각 층마다 해양생물이 서식하는 서식블럭(5)을 포함한다. 이러한 복층어초(1)는 구조를 복층으로 개선함으로써 한정된 어초 공간내에 수심에 따라서 층층이 다른 어종 및 해양식물이 서식하도록 함으로써 어족자원 및 해양자원을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layer reef (1). The dual-layer reef (1) comprises: an outer structure (3) disposed outside and into which seawater can enter; and an inhabitation block (6) stacked vertically on the inside of the outer structure (3) and in which marine organisms live in each layer. The dual-layer reef (1) has an advantage of effectively preserving fish resources and marine resources by allowing different species of fish and marine plants to live in a limited reef space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by improving the structure into a dual-layer structure.
본 발명은 복층어초(1)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복층어초(1)는 외측에 배치되며 해수가 유입될 수 있는 외부 구조물(3)과; 외부 구조물(3)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며 각 층마다 해양생물이 서식하는 서식블럭(5)을 포함한다. 이러한 복층어초(1)는 구조를 복층으로 개선함으로써 한정된 어초 공간내에 수심에 따라서 층층이 다른 어종 및 해양식물이 서식하도록 함으로써 어족자원 및 해양자원을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ual layer of artificial reef
복층어초
OH CHUL HEE (author)
2019-03-22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