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Up-down work table for elevating working pl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ing worktable for high place work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levating worktable for high place work capable of elevating or dropping a worktable through the extension of a boom by installing the worktable on the uppermost one of a plurality of booms. Both ends of a transfer bar plac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of the worktable are guided to be moved up and down outside a three-stage boom, and an elevating device elevating the transfer bar upwar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three-stage boom is placed in each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having both ends connected with three-stage booms. The elevating device elevates the worktable independently from the boom by towing a wire rope connected to the transfer bar through a pulley placed on the top of the three-stage boom. Therefore, the worktable is elevated to a one-stage boom, and then, two-stage and three-stage booms are extended to enable the height of the worktable to be quickly and conveniently adjusted, and also, the worktable is elevated to the three-stage boom on the top independently from the extension of the booms to enable a user to perform ceiling work on a relatively low position, and convenience in manipulation and work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복수단의 붐들과, 최상단 붐에 작업대가 설치되어 붐의 신장에 의해 작업대를 승하강시키도록 된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하단의 전후측에 제공된 이송대의 양단은 상기 3단붐 외측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고, 상기 3단붐들에 양단이 연결된 가로부재들 각각에는 상기 작업대 하단의 이송대를 3단붐의 하부 위치에서 상부 위치로 승가항시키는 승강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승강장치는 3단부의 상단에 제공된 도르레를 통해 작업대의 이송대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를 견인하여 작업대를 붐과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확장된 작업대를 1단 붐의 상단까지 승강시킨 다음 2단과 3단 높이를 붐을 신장시켜 작업대 높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와, 작업대를 붐의 신축과 독립적으로 최상의 3단붐으로 승강시켜 붐을 작동하지 않고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천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조작의 편의성과 작업 수행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Up-down work table for elevating working pl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ing worktable for high place work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levating worktable for high place work capable of elevating or dropping a worktable through the extension of a boom by installing the worktable on the uppermost one of a plurality of booms. Both ends of a transfer bar plac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of the worktable are guided to be moved up and down outside a three-stage boom, and an elevating device elevating the transfer bar upwar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three-stage boom is placed in each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having both ends connected with three-stage booms. The elevating device elevates the worktable independently from the boom by towing a wire rope connected to the transfer bar through a pulley placed on the top of the three-stage boom. Therefore, the worktable is elevated to a one-stage boom, and then, two-stage and three-stage booms are extended to enable the height of the worktable to be quickly and conveniently adjusted, and also, the worktable is elevated to the three-stage boom on the top independently from the extension of the booms to enable a user to perform ceiling work on a relatively low position, and convenience in manipulation and work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복수단의 붐들과, 최상단 붐에 작업대가 설치되어 붐의 신장에 의해 작업대를 승하강시키도록 된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하단의 전후측에 제공된 이송대의 양단은 상기 3단붐 외측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고, 상기 3단붐들에 양단이 연결된 가로부재들 각각에는 상기 작업대 하단의 이송대를 3단붐의 하부 위치에서 상부 위치로 승가항시키는 승강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승강장치는 3단부의 상단에 제공된 도르레를 통해 작업대의 이송대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를 견인하여 작업대를 붐과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확장된 작업대를 1단 붐의 상단까지 승강시킨 다음 2단과 3단 높이를 붐을 신장시켜 작업대 높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와, 작업대를 붐의 신축과 독립적으로 최상의 3단붐으로 승강시켜 붐을 작동하지 않고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천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조작의 편의성과 작업 수행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Up-down work table for elevating working place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
YOO WON SEON (author)
2019-09-27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4G
SCAFFOLDING
,
Baugerüs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