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Odor elimination apparatus using water treat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relating to a toilet in a bathroom, and more specifically, to an odor elimination apparatus using water treatment for effective elimination of odors in a bathroom. In particular, the toilet comprises: a seat plate of which rear end is rotatably connected on top of a toilet bowl, and which forms a tunnel portion as an upper surface of the seat plate forms a convex curvature and a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forms a concave curvature; a tube which is disposed along the tunnel portion and extends to the rear side of the seat plate;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which are spaced apart and branched from the tube, and are situated in the tunnel portion; at least one pressure sensor which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a gas-liquid mixing tank which is disposed inside or outside a reservoir tank and includes a tap water inlet, a suction gas inlet,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reservoir tank; a suction fan which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suction gas inlet, and has the other side connected to a terminal end of the tube to supply sucked-in gas to the gas-liquid mixing tank;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gas-liquid mixing tank subjects the sucked-in gas to a first breakdown using tap water, and to a second breakdown by introducing a gas-liquid mixture into the reservoir tank from the gas-liquid mixing tank.
본 발명은 화장실의 변기와 관련되는 기술이되, 특히 화장실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변기통 위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면은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은 오목하게 함몰되어 터널부를 이루는 좌대; 상기 터널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좌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튜브; 이격거리를 두고 상기 튜브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터널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흡입구; 상기 좌대의 하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 상기 저수통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며, 직수투입구와 흡입가스투입구 및 상기 저수통과 연결되는 토출구가 마련되는 기액혼합조; 일측은 상기 흡입가스투입구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튜브의 끝단과 연결되어 흡입된 가스를 상기 기액혼합조로 공급하는 흡입팬;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액혼합조에서 흡입된 가스를 직수를 이용하여 1차 분해한 다음, 상기 저수통으로 상기 기액혼합조의 기액혼합물을 투입시켜서 2차 분해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dor elimination apparatus using water treat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relating to a toilet in a bathroom, and more specifically, to an odor elimination apparatus using water treatment for effective elimination of odors in a bathroom. In particular, the toilet comprises: a seat plate of which rear end is rotatably connected on top of a toilet bowl, and which forms a tunnel portion as an upper surface of the seat plate forms a convex curvature and a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forms a concave curvature; a tube which is disposed along the tunnel portion and extends to the rear side of the seat plate;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which are spaced apart and branched from the tube, and are situated in the tunnel portion; at least one pressure sensor which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a gas-liquid mixing tank which is disposed inside or outside a reservoir tank and includes a tap water inlet, a suction gas inlet,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reservoir tank; a suction fan which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suction gas inlet, and has the other side connected to a terminal end of the tube to supply sucked-in gas to the gas-liquid mixing tank;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gas-liquid mixing tank subjects the sucked-in gas to a first breakdown using tap water, and to a second breakdown by introducing a gas-liquid mixture into the reservoir tank from the gas-liquid mixing tank.
본 발명은 화장실의 변기와 관련되는 기술이되, 특히 화장실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변기통 위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면은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은 오목하게 함몰되어 터널부를 이루는 좌대; 상기 터널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좌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튜브; 이격거리를 두고 상기 튜브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터널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흡입구; 상기 좌대의 하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 상기 저수통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며, 직수투입구와 흡입가스투입구 및 상기 저수통과 연결되는 토출구가 마련되는 기액혼합조; 일측은 상기 흡입가스투입구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튜브의 끝단과 연결되어 흡입된 가스를 상기 기액혼합조로 공급하는 흡입팬;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액혼합조에서 흡입된 가스를 직수를 이용하여 1차 분해한 다음, 상기 저수통으로 상기 기액혼합조의 기액혼합물을 투입시켜서 2차 분해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dor elimination apparatus using water treatment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
LEE SANG GON (author)
2020-04-09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Engineering Index Backfile | 1924
|Wiley | 19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