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Space-separated bus stops containing fine dust abatement syste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 separation type bus stop having a fine dust reduction system, which can reduce fine dust in the bus stop to protect passengers waiting in the bus stop from air pol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 dust reduction system comprises: an outer surface part including a main body, a plurality of fences, a sensor to measure an air pollution level, a passenger movement sensor, and a plurality of diffusers to discharge purified air; and an air purification par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purify air.
본 발명은 교통 밀집 지역내 대중 교통을 위해 정류장에서 대기하고 있는 승객들을 자동차의 배출물질과 미세먼저로부터 노출을 방지하는 정류장의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 좌우측 면 및 천장이 구비된 정류장 본체와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저감시키는 펜스와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승객의 객체수, 보행속도, 부동시 위치 패턴을 측정하고 감시하는 승객유동센서와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디퓨저로 이루어지는 외면부 및 정류장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 송풍기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공기투입구와 프리필터에 통과시켜 본체 내부로 유입시키되 유입된 공기는 필터장치부를 통해 정화되어 상기 디퓨저를 통해 배출되며, 본체 내면 일측에 공기 정화 및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는 공기정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은 정화된 공기를 정류장 내부로 배출하여 정류장 내부의 미세먼지를 저감시켜 정류장의 탑승대기자들을 차량에서 발생되거나 기존 대기중의 대기오염들로부터 보호하고, 센서 및 승객유동센서를 이용하여 탑승객의 유무를 판단하고, 유동적인 탑승객의 수, 정류장과 그 주변 오염도의 세밀한 변화에 따라 공기정화를 실시하며,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사용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하며,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기류 방향을 최적화하고, 오염도에 따아서 정류장마다 다양한 필터층을 구비한 정류장을 설치하여 설치비용을 적게하며, 도로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펜스를 이용하여 방지한다.
Space-separated bus stops containing fine dust abatement syste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 separation type bus stop having a fine dust reduction system, which can reduce fine dust in the bus stop to protect passengers waiting in the bus stop from air pol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 dust reduction system comprises: an outer surface part including a main body, a plurality of fences, a sensor to measure an air pollution level, a passenger movement sensor, and a plurality of diffusers to discharge purified air; and an air purification par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purify air.
본 발명은 교통 밀집 지역내 대중 교통을 위해 정류장에서 대기하고 있는 승객들을 자동차의 배출물질과 미세먼저로부터 노출을 방지하는 정류장의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 좌우측 면 및 천장이 구비된 정류장 본체와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저감시키는 펜스와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승객의 객체수, 보행속도, 부동시 위치 패턴을 측정하고 감시하는 승객유동센서와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디퓨저로 이루어지는 외면부 및 정류장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 송풍기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공기투입구와 프리필터에 통과시켜 본체 내부로 유입시키되 유입된 공기는 필터장치부를 통해 정화되어 상기 디퓨저를 통해 배출되며, 본체 내면 일측에 공기 정화 및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는 공기정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은 정화된 공기를 정류장 내부로 배출하여 정류장 내부의 미세먼지를 저감시켜 정류장의 탑승대기자들을 차량에서 발생되거나 기존 대기중의 대기오염들로부터 보호하고, 센서 및 승객유동센서를 이용하여 탑승객의 유무를 판단하고, 유동적인 탑승객의 수, 정류장과 그 주변 오염도의 세밀한 변화에 따라 공기정화를 실시하며,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사용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하며,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기류 방향을 최적화하고, 오염도에 따아서 정류장마다 다양한 필터층을 구비한 정류장을 설치하여 설치비용을 적게하며, 도로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펜스를 이용하여 방지한다.
Space-separated bus stops containing fine dust abatement systems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
JEON HYUN IK (author) / BACK JIN SOO (author) / YOU TAI WOO (author) / PARK KI MAN (author) / CHO SUN YOUNG (author)
2020-05-22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4H
Gebäude oder ähnliche Bauwerke für besondere Zwecke
,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
B01D
SEPARATION
,
Trennen
/
F24F
Klimatisierung
,
AIR-CONDITIONING
/
G01N
Untersuchen oder Analysieren von Stoffen durch Bestimmen ihrer chemischen oder physikalischen Eigenschaften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H02S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Erzeugung elektrischer Energie durch Umwandlung von Infrarot-Strahlung, sichtbarem Licht oder ultraviolettem Licht, z.B. unter Verwendung von Photovoltaik [PV]-Modulen
Space-separated bus stops containing fine dust abatement systems
European Patent Office | 2020
Methods of dust abatement and prevention
Engineering Index Backfile | 1904
|Gaseous emissions from lignosulfonates in dust abatement applications
Online Contents | 2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