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Variable Roof Dra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roof drain and, more specifically, to a variable roof drain capable of improving the constructability and reducing the construction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roof drain comprises: a drain cap (10)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11) formed thereon; an upper body (20) having a flange part (21) formed on an upper part thereof, and a connection pipe (26) formed on a lower part thereof; a length adjusting pipe (30); a socket part (40); and a lower body (50).
본 발명은 슬래브상의 콘크리트층을 형성할 때 하부 거푸집에 배수관 교체용 임시배관이 지나는 관통공을 천공하거나 하부 거푸집에 임시배관의 관통공을 뚫지 않고 시공하는 방법에 관계없이 단열층의 두께변화에 상응한 길이로 높낮이를 맞출 수 있고,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수를 잔수 없이 외부에 상시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루프 드레인에 관한 것으로, 마감층 표면의 배수로에 노출되어 이물질을 거르고 오수나 우수를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배수캡과; 단열층에 매설되며 상부에 상기 배수캡의 하부를 수납 고정하기 위한 플렌지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배수캡의 배수공을 통과한 유입수를 하부측으로 보내기 위한 중공의 연결관을 구비한 상부 바디와; 상기 단열층에 매입되되 상단부가 상기 상부 바디의 연결관에 결합되고, 상기 단열층의 변경두께에 상응하게 상, 하부바디의 설치간격을 맞추도록 절단하는 길이조절관과; 상기 길이조절관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단열층에서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입하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공을 통해 유입된 결로수를 하부바디로 보내는 소켓부와; 콘크리트층 및 제2방수층에 매설되되, 상부에 상기 소켓부의 하부와 결합되고, 하부에 배수관과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관을 구비한 하부 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별도의 가공 작업 없이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폐관을 길이조절관으로 활용하여 단열층의 두께에 상응한 길이로 루프 드레인의 높이를 간단하게 정확히 맞출 수가 있고, 또 단열층의 결로수가 잔존함이 없이 소켓부의 배수공을 통해 상시적으로 하부 바디측으로 완전히 배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결로수에 의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잠식할 수 있는 효과 외에도 종래의 루프 드레인에 비해 길이(높이)조절수단을 간소화하고 경량의 소재를 채용토록 하므로서 슬래브의 전체 하중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동시에 원가절감으로 인한 제작코스트를 대폭 낮출 수 있으며, 또한 관부와 관부를 조립식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하므로서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라도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견고하게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 외에도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Variable Roof Dra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roof drain and, more specifically, to a variable roof drain capable of improving the constructability and reducing the construction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roof drain comprises: a drain cap (10)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11) formed thereon; an upper body (20) having a flange part (21) formed on an upper part thereof, and a connection pipe (26) formed on a lower part thereof; a length adjusting pipe (30); a socket part (40); and a lower body (50).
본 발명은 슬래브상의 콘크리트층을 형성할 때 하부 거푸집에 배수관 교체용 임시배관이 지나는 관통공을 천공하거나 하부 거푸집에 임시배관의 관통공을 뚫지 않고 시공하는 방법에 관계없이 단열층의 두께변화에 상응한 길이로 높낮이를 맞출 수 있고,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수를 잔수 없이 외부에 상시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루프 드레인에 관한 것으로, 마감층 표면의 배수로에 노출되어 이물질을 거르고 오수나 우수를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배수캡과; 단열층에 매설되며 상부에 상기 배수캡의 하부를 수납 고정하기 위한 플렌지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배수캡의 배수공을 통과한 유입수를 하부측으로 보내기 위한 중공의 연결관을 구비한 상부 바디와; 상기 단열층에 매입되되 상단부가 상기 상부 바디의 연결관에 결합되고, 상기 단열층의 변경두께에 상응하게 상, 하부바디의 설치간격을 맞추도록 절단하는 길이조절관과; 상기 길이조절관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단열층에서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입하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공을 통해 유입된 결로수를 하부바디로 보내는 소켓부와; 콘크리트층 및 제2방수층에 매설되되, 상부에 상기 소켓부의 하부와 결합되고, 하부에 배수관과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관을 구비한 하부 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별도의 가공 작업 없이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폐관을 길이조절관으로 활용하여 단열층의 두께에 상응한 길이로 루프 드레인의 높이를 간단하게 정확히 맞출 수가 있고, 또 단열층의 결로수가 잔존함이 없이 소켓부의 배수공을 통해 상시적으로 하부 바디측으로 완전히 배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결로수에 의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잠식할 수 있는 효과 외에도 종래의 루프 드레인에 비해 길이(높이)조절수단을 간소화하고 경량의 소재를 채용토록 하므로서 슬래브의 전체 하중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동시에 원가절감으로 인한 제작코스트를 대폭 낮출 수 있으며, 또한 관부와 관부를 조립식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하므로서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라도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견고하게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 외에도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Variable Roof Drain
가변형 루프 드레인
KO UI HWAN (author) / GO JAE HWAN (author)
2020-08-10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4D
ROOF COVERINGS
,
Dacheindeckungen
ROOF DRAIN, ROOF DRAIN CONSTRUCTION JIG, AND ROOF DRAIN CONSTRUCTION METHOD
European Patent Office | 2022
|ROOF DRAIN, ROOF DRAIN CONSTRUCTION JIG, ROOF DRAIN CONSTRUCTION METHOD, AND DRAINAGE SYSTEM
European Patent Office | 2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