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ffer structure for a guardrail, which absorbs direct kinetic energy transferred from the guardrail to protect the guardrail by shock absor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structure for a guardrail comprises: a plurality of poles (100) fixed on the grou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having a cap (101) formed on an upper part; a plurality of guardrails (200)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oles (100) to cross the plurality of poles (100) and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lurality of poles (100); and a plurality of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s (300)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guardrails (20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본 발명은 가드레일의 완충구조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고정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부에 캡(101)이 설치된 복수의 지주대(100);와, 상기 복수의 지주대(100) 전면에 복수의 지주대(100)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지주대(100) 상부와 하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가드레일(200);과, 상기 복수의 가드레일(200) 사이에 설치되되,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이탈방지 브라켓(300);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대(100)의 단면은 삼각형상이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장공의 공간(102)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102)에 지주대(100)의 길이방향으로 "ㅗ"형상의 고정빔(103)이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며, 상기 가드레일(200)은 옴"JPEGpat00018.jpg76"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전면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1차적 충격을 완충하고 옴"JPEGpat00019.jpg76" 형상이 초승달 " ) "형상으로 변형되어 2차적 충격을 완충하며, 상기 가드레일(200) 양 끝단에 제1, 2 연결바(201, 202)가 형성되고, 제1, 2 연결바(201, 202)에 의해 각 가드레일(200)이 상호 수평방향으로 정렬되어 결합되며, 상기 가드레일(200)과 지주대(100) 사이에 지주대(100)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게 충격방지 브라켓(203)이 설치되고, 상기 공간(102) 내부에 고정브라켓(104)을 구비하여 볼트(B)가 가드레일(200)과, 지주대(100), 고정브라켓(104)을 관통하여, 고정브라켓(104)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ffer structure for a guardrail, which absorbs direct kinetic energy transferred from the guardrail to protect the guardrail by shock absor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structure for a guardrail comprises: a plurality of poles (100) fixed on the grou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having a cap (101) formed on an upper part; a plurality of guardrails (200)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oles (100) to cross the plurality of poles (100) and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lurality of poles (100); and a plurality of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s (300)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guardrails (20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본 발명은 가드레일의 완충구조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고정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부에 캡(101)이 설치된 복수의 지주대(100);와, 상기 복수의 지주대(100) 전면에 복수의 지주대(100)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지주대(100) 상부와 하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가드레일(200);과, 상기 복수의 가드레일(200) 사이에 설치되되,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이탈방지 브라켓(300);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대(100)의 단면은 삼각형상이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장공의 공간(102)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102)에 지주대(100)의 길이방향으로 "ㅗ"형상의 고정빔(103)이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며, 상기 가드레일(200)은 옴"JPEGpat00018.jpg76"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전면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1차적 충격을 완충하고 옴"JPEGpat00019.jpg76" 형상이 초승달 " ) "형상으로 변형되어 2차적 충격을 완충하며, 상기 가드레일(200) 양 끝단에 제1, 2 연결바(201, 202)가 형성되고, 제1, 2 연결바(201, 202)에 의해 각 가드레일(200)이 상호 수평방향으로 정렬되어 결합되며, 상기 가드레일(200)과 지주대(100) 사이에 지주대(100)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게 충격방지 브라켓(203)이 설치되고, 상기 공간(102) 내부에 고정브라켓(104)을 구비하여 볼트(B)가 가드레일(200)과, 지주대(100), 고정브라켓(104)을 관통하여, 고정브라켓(104)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UFFER STRUCTURE OF GUARDRAIL
가드레일의 완충구조
SHIM HYEON SEONG (author)
2020-11-03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1F
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Zusätzliche Baumaßnahmen, wie die Ausstattung von Straßen oder die bauliche Ausbildung von Bahnsteigen, Landeplätzen für Hubschrauber, Wegweisern, Schneezäunen oder dgl.
GUARDRAIL APPARATUS HAVING STRENGTHENED BUFFER STRUCTURE
European Patent Office |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