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Block structure for building wal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structure for a building wall in which the durability of a building wall is maximized, comprising: a block; a connection plate in a metal plate shape: a fixing bolt penetrating a connection hole of the connection plate; and a fixing nut for fixing the block.
본 발명은 건축물 벽면용 블럭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각측부 및 간격을 두고 건축물을 지지하도록 금속재질의 지지대를 시공한 후 지지대의 옆으로 시공되는 건축물 벽면용 블럭구조체에 있어서, 사각형태로 이루어져 중앙이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를 제외한 종방향 및 횡방향에 연결홈이 상, 하에 각각 다수개가 형성되어, 지지대의 옆으로 건축물의 벽면을 이루도록 외측이 계속적으로 접하는 블럭; 상기 외측이 접한 블럭의 개방부 내측면에 각각 접지됨과 아울러 상, 하로 형성된 연결홈과 동일한 위치에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 하단부가 블럭의 상, 하단부와 동일하게 연장되는 금속판 형태의 연결판: 상기 외측이 접한 블럭의 개방부 내측면에 각각 접지되는 연결판의 연결공을 관통하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져, 관통된 선단의 나사부는 외측이 접한 블럭 중 일측의 블럭에 위치된 연결판의 연결공을 관통하며, 헤드부는 외측이 접한 블럭 중 타측의 블럭에 위치된 연결판에 접지되며, 축부는 연결홈에 위치되는 고정볼트; 상기 고정볼트의 선단에 나사부가 관통되는 연결판으로 나사부에 체결되어 고정볼트와 연결판을 고정하여 외측이 접한 블럭를 고정하는 고정너트;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연결홈에 위치되어 연결판에 관통되는 고정볼트에 고정너트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시공되어 기존의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건축물 벽면을 시공하는 방식에 비해 시공성이 좋아 시공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키고, 건축물의 크기나 시공현장의 환경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블럭이 끼움되는 방식에 비해 블럭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건축물 벽면의 내구성 또한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Block structure for building wal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structure for a building wall in which the durability of a building wall is maximized, comprising: a block; a connection plate in a metal plate shape: a fixing bolt penetrating a connection hole of the connection plate; and a fixing nut for fixing the block.
본 발명은 건축물 벽면용 블럭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각측부 및 간격을 두고 건축물을 지지하도록 금속재질의 지지대를 시공한 후 지지대의 옆으로 시공되는 건축물 벽면용 블럭구조체에 있어서, 사각형태로 이루어져 중앙이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를 제외한 종방향 및 횡방향에 연결홈이 상, 하에 각각 다수개가 형성되어, 지지대의 옆으로 건축물의 벽면을 이루도록 외측이 계속적으로 접하는 블럭; 상기 외측이 접한 블럭의 개방부 내측면에 각각 접지됨과 아울러 상, 하로 형성된 연결홈과 동일한 위치에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 하단부가 블럭의 상, 하단부와 동일하게 연장되는 금속판 형태의 연결판: 상기 외측이 접한 블럭의 개방부 내측면에 각각 접지되는 연결판의 연결공을 관통하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져, 관통된 선단의 나사부는 외측이 접한 블럭 중 일측의 블럭에 위치된 연결판의 연결공을 관통하며, 헤드부는 외측이 접한 블럭 중 타측의 블럭에 위치된 연결판에 접지되며, 축부는 연결홈에 위치되는 고정볼트; 상기 고정볼트의 선단에 나사부가 관통되는 연결판으로 나사부에 체결되어 고정볼트와 연결판을 고정하여 외측이 접한 블럭를 고정하는 고정너트;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연결홈에 위치되어 연결판에 관통되는 고정볼트에 고정너트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시공되어 기존의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건축물 벽면을 시공하는 방식에 비해 시공성이 좋아 시공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키고, 건축물의 크기나 시공현장의 환경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블럭이 끼움되는 방식에 비해 블럭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건축물 벽면의 내구성 또한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Block structure for building walls
건축물 벽면용 블럭구조체
2021-11-30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4B
Allgemeine Baukonstruktionen
,
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Engineering Index Backfile | 1906
|BLOCK STRUCTURE FOR ENDING WALLS IN FERROCONCRETE BUILDING
European Patent Office | 2017
|BLOCK STRUCTURE FOR ENDING WALLS IN FERROCONCRETE BUILDING
European Patent Office | 2018
EARTHQUAKEPROOF BUILDING WITH WALLS OF BLOCK CONSTRUCTION
European Patent Office | 2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