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침수형 부상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부판체와 하부판체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좌우한쌍의 측벽판체를 갖추고,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의 선,후단에 접하여 상기 상부판체와 하부판체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전,후방판체를 갖추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 ; 상기 상부판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전,후방판체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판체에 타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전,후방판체를 매개로 상기 상,하부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1연결체를 갖추고, 상기 상부판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의 각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판체에 타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를 매개로 상기 상,하부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2연결체를 갖추며, 상기 전방판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후방판체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를 매개로 상기 전,후방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3연결체를 갖추어 복수개의 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판체 연결부; 를 포함하여, 상기 부력체가 배치되는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물이 채워지면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 일부는 수면아래에 침수되고, 상기 부력체에 의해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 나머지는 수면에 부상되어 노출될 수 있다.
침수형 부상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부판체와 하부판체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좌우한쌍의 측벽판체를 갖추고,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의 선,후단에 접하여 상기 상부판체와 하부판체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전,후방판체를 갖추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 ; 상기 상부판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전,후방판체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판체에 타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전,후방판체를 매개로 상기 상,하부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1연결체를 갖추고, 상기 상부판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의 각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판체에 타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를 매개로 상기 상,하부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2연결체를 갖추며, 상기 전방판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후방판체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를 매개로 상기 전,후방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3연결체를 갖추어 복수개의 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판체 연결부; 를 포함하여, 상기 부력체가 배치되는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물이 채워지면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 일부는 수면아래에 침수되고, 상기 부력체에 의해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 나머지는 수면에 부상되어 노출될 수 있다.
a Submerged Floating Assembly
침수형 부상 조립체
KANG HEUNG MOOK (author)
2021-12-17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British Library Online Contents | 1993
|Chapter 6: Submerged Floating Tunnels
Online Contents | 19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