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본 발명은 지중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직선상의 연결관부와 상기 연결관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관부의 내표면에 돌출 형성된 소켓돌부를 가지고, 상기 소켓돌부의 우측면에 우지지관의 좌측단이 지지되고 상기 소켓돌부의 좌측면에 좌지지관의 우측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연결소켓과; 좌측단이 상기 소켓돌부의 우측면에 지지되도록 우지중관을 설치할 때 상기 연결관부와의 사이에 환형의 우몰탈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우지중관의 외표면 좌측영역에 돌출 형성된 우지중관돌부와; 우측단이 상기 소켓돌부의 좌측면에 지지되도록 좌지중관을 설치할 때 상기 연결관부와의 사이에 환형의 좌몰탈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좌지중관의 외표면 우측영역에 돌출 형성된 좌지중관돌부와; 띠형태의 우체결수평부와 상기 우체결수평부의 우측단으로부터 상기 우지중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우하강수직부와 상기 우하강수직부의 우측에서 상기 우하강수직부에 나란하게 배치된 우상승수직부와 상기 우상승수직부의 우측단으로부터 상기 우지중관에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된 우연장수평부와 상기 우연장수평부의 우측단으로부터 상기 우지중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우걸림수직부와 상기 우하강수직부와 상기 우상승수직부 사이를 연결하는 우매립수평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우걸림수직부가 상기 우지중관돌부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상기 우체결수평부를 통해 상기 연결관부의 우측영역에 분산 결합되는 복수의 우잡이쇠구속부와; 띠형태의 좌체결수평부와 상기 좌체결수평부의 좌측단으로부터 상기 좌지중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좌하강수직부와 상기 좌하강수직부의 좌측에서 상기 좌하강수직부에 나란하게 배치된 좌상승수직부와 상기 좌상승수직부의 좌측단으로부터 상기 좌지중관에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된 좌연장수평부와 상기 좌연장수평부의 좌측단으로부터 상기 좌지중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좌걸림수직부와 상기 좌하강수직부와 상기 좌상승수직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매립수평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좌걸림수직부가 상기 좌지중관돌부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상기 좌체결수평부를 통해 상기 연결관부의 좌측영역에 분산 결합되는 복수의 좌잡이쇠구속부와; 상기 우매립수평부가 매립되도록 상기 우몰탈공간에 형성된 우몰탈부와; 상기 좌매립수평부가 매립되도록 상기 좌몰탈공간에 형성된 좌몰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지중관연결작업이 용이해지고 지중관의 초기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지중관연결부위의 수밀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지중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직선상의 연결관부와 상기 연결관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관부의 내표면에 돌출 형성된 소켓돌부를 가지고, 상기 소켓돌부의 우측면에 우지지관의 좌측단이 지지되고 상기 소켓돌부의 좌측면에 좌지지관의 우측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연결소켓과; 좌측단이 상기 소켓돌부의 우측면에 지지되도록 우지중관을 설치할 때 상기 연결관부와의 사이에 환형의 우몰탈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우지중관의 외표면 좌측영역에 돌출 형성된 우지중관돌부와; 우측단이 상기 소켓돌부의 좌측면에 지지되도록 좌지중관을 설치할 때 상기 연결관부와의 사이에 환형의 좌몰탈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좌지중관의 외표면 우측영역에 돌출 형성된 좌지중관돌부와; 띠형태의 우체결수평부와 상기 우체결수평부의 우측단으로부터 상기 우지중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우하강수직부와 상기 우하강수직부의 우측에서 상기 우하강수직부에 나란하게 배치된 우상승수직부와 상기 우상승수직부의 우측단으로부터 상기 우지중관에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된 우연장수평부와 상기 우연장수평부의 우측단으로부터 상기 우지중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우걸림수직부와 상기 우하강수직부와 상기 우상승수직부 사이를 연결하는 우매립수평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우걸림수직부가 상기 우지중관돌부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상기 우체결수평부를 통해 상기 연결관부의 우측영역에 분산 결합되는 복수의 우잡이쇠구속부와; 띠형태의 좌체결수평부와 상기 좌체결수평부의 좌측단으로부터 상기 좌지중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좌하강수직부와 상기 좌하강수직부의 좌측에서 상기 좌하강수직부에 나란하게 배치된 좌상승수직부와 상기 좌상승수직부의 좌측단으로부터 상기 좌지중관에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된 좌연장수평부와 상기 좌연장수평부의 좌측단으로부터 상기 좌지중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좌걸림수직부와 상기 좌하강수직부와 상기 좌상승수직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매립수평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좌걸림수직부가 상기 좌지중관돌부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상기 좌체결수평부를 통해 상기 연결관부의 좌측영역에 분산 결합되는 복수의 좌잡이쇠구속부와; 상기 우매립수평부가 매립되도록 상기 우몰탈공간에 형성된 우몰탈부와; 상기 좌매립수평부가 매립되도록 상기 좌몰탈공간에 형성된 좌몰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지중관연결작업이 용이해지고 지중관의 초기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지중관연결부위의 수밀성이 향상된다.
Connecting Structure of Underground Pipe
지중관의 연결구조
LEE WAN PYO (author)
2021-12-22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Prefabricated underground comprehensive pipe rack T-shaped connecting joint
European Patent Office | 2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