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retaining wall which comprises: stacked blocks including a pair of stacked protruding bumps formed on both sides of an upper e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rotruding upward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air of stacked insertion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 lower end, indented on an upper en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taircase-type blocks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on each of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formed on both sid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dented inward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rough the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stacked blocks and the staircase-type blocks, a vertical or staircase-type retaining wall can be formed by selectively stacking the blocks on an upper side, lower side, left side, and right side.
본 발명은 상단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적층식돌출돌기와 하단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적층식끼움홈으로 구성된 적층식블록; 및 상단과 하단 각각에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계단식끼움홈으로 구성된 계단식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적층식블록 및 계단식블록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통해 상,하,좌,우 선택적으로 적층되어 수직형 또는 계단형 옹벽 구조물의 조성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retaining wall which comprises: stacked blocks including a pair of stacked protruding bumps formed on both sides of an upper e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rotruding upward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air of stacked insertion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 lower end, indented on an upper en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taircase-type blocks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on each of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formed on both sid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dented inward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rough the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stacked blocks and the staircase-type blocks, a vertical or staircase-type retaining wall can be formed by selectively stacking the blocks on an upper side, lower side, left side, and right side.
본 발명은 상단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적층식돌출돌기와 하단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적층식끼움홈으로 구성된 적층식블록; 및 상단과 하단 각각에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계단식끼움홈으로 구성된 계단식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적층식블록 및 계단식블록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통해 상,하,좌,우 선택적으로 적층되어 수직형 또는 계단형 옹벽 구조물의 조성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VARIABLE TYPE RETAINING WALL
가변형 옹벽 구조물
KANG SANG SIK (author)
2022-11-02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2D
FOUNDATIONS
,
Gründungen
Retaining wall block assembling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European Patent Office | 2018
|Gravity typ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nd gravity type retaining wall
European Patent Office | 2022
|European Patent Office | 2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