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inge for a flange type fire door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for a flange type fire door comprises: a door hinge; and a frame hinge. As stat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for a flange type fire door can assure smoothly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of a fire door, and further, maintain a contact state to be stable when closing the fire door.
본 발명은 사면날개형 방화문용 힌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면날개형 방화문용 힌지는, 테두리 부분이 계단형으로 굽힘 가공되어 나사부재가 나사체결되는 복수의 문고정나사홀이 형성된 문날개부를 구비한 방화문 및 이 방화문이 닫혔을 때 테두리 부분이 밀착 폐쇄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계단형으로 굽힘 가공되고 나사부재가 나사체결되는 복수의 틀고정나사홀이 형성된 틀날개부를 구비하는 문틀의 일측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문틀에서 방화문이 개폐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사면날개형 방화문용 힌지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에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판의 일부를 원기둥 형상이 되게 굽힘 성형하여 수직방향으로 문축구멍이 형성되게 한 삽입관부 및 이 삽입관부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 구비되어 상기 문날개부에 밀착되게 대응되는 계단형상으로 굽힘 가공한 것으로 상기 삽입관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문절곡판부 및 이 제1문절곡판부의 끝단에서 직각으로 굽힘 연장되는 제2문절곡판부 및 이 제2문절곡판부의 끝단에서 직각으로 굽힘 연장되는 제3문절곡판부로 된 문계단절곡부로 이루어지는 문경첩과; 상기 문틀에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판의 일부를 원기둥 형상이 되게 굽힘 성형하여 틀축구멍을 형성하는 고정관부 및 이 고정관부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 구비되어 상기 틀날개부에 밀착되게 대응되는 계단형상으로 굽힘 가공한 것으로 상기 고정관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틀절곡판부 및 이 제1틀절곡판부의 끝단에서 직각으로 굽힘 연장되는 제2틀절곡판부 및 이 제2틀절곡판부의 끝단에서 직각으로 굽힘 연장되는 제3틀절곡판부로 된 틀계단절곡부 및 상기 고정관부에 하단이 끼움 삽입되어 일체로 국부 가압되어 소성변형되는 것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것으로 그 상단은 고정관부의 상측으로 노출 연장되어 상기 문경첩의 문축구멍에 슬라이드 끼움되는 힌지축으로 이루어지는 틀경첩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날개형 방화문용 힌지는 문틀과 방화문의 테두리 부분이 대응되게 계단형으로 접힌 사면날개형 구조에 적용되어 방화문의 원활한 개폐동작을 보장하고 아울러 방화문의 폐쇄시 밀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방화문과 문틀의 시공성을 양호하게 하여 양산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문경첩과 틀경첩간의 설치 오차로 인해 높이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 힌지축에 고리 형상의 스페이스링을 하나 또는 복수 끼워 넣는 간소한 작업만으로 보상이 가능하므로 시공성을 개선시키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inge for a flange type fire door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for a flange type fire door comprises: a door hinge; and a frame hinge. As stat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for a flange type fire door can assure smoothly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of a fire door, and further, maintain a contact state to be stable when closing the fire door.
본 발명은 사면날개형 방화문용 힌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면날개형 방화문용 힌지는, 테두리 부분이 계단형으로 굽힘 가공되어 나사부재가 나사체결되는 복수의 문고정나사홀이 형성된 문날개부를 구비한 방화문 및 이 방화문이 닫혔을 때 테두리 부분이 밀착 폐쇄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계단형으로 굽힘 가공되고 나사부재가 나사체결되는 복수의 틀고정나사홀이 형성된 틀날개부를 구비하는 문틀의 일측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문틀에서 방화문이 개폐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사면날개형 방화문용 힌지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에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판의 일부를 원기둥 형상이 되게 굽힘 성형하여 수직방향으로 문축구멍이 형성되게 한 삽입관부 및 이 삽입관부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 구비되어 상기 문날개부에 밀착되게 대응되는 계단형상으로 굽힘 가공한 것으로 상기 삽입관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문절곡판부 및 이 제1문절곡판부의 끝단에서 직각으로 굽힘 연장되는 제2문절곡판부 및 이 제2문절곡판부의 끝단에서 직각으로 굽힘 연장되는 제3문절곡판부로 된 문계단절곡부로 이루어지는 문경첩과; 상기 문틀에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판의 일부를 원기둥 형상이 되게 굽힘 성형하여 틀축구멍을 형성하는 고정관부 및 이 고정관부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 구비되어 상기 틀날개부에 밀착되게 대응되는 계단형상으로 굽힘 가공한 것으로 상기 고정관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틀절곡판부 및 이 제1틀절곡판부의 끝단에서 직각으로 굽힘 연장되는 제2틀절곡판부 및 이 제2틀절곡판부의 끝단에서 직각으로 굽힘 연장되는 제3틀절곡판부로 된 틀계단절곡부 및 상기 고정관부에 하단이 끼움 삽입되어 일체로 국부 가압되어 소성변형되는 것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것으로 그 상단은 고정관부의 상측으로 노출 연장되어 상기 문경첩의 문축구멍에 슬라이드 끼움되는 힌지축으로 이루어지는 틀경첩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날개형 방화문용 힌지는 문틀과 방화문의 테두리 부분이 대응되게 계단형으로 접힌 사면날개형 구조에 적용되어 방화문의 원활한 개폐동작을 보장하고 아울러 방화문의 폐쇄시 밀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방화문과 문틀의 시공성을 양호하게 하여 양산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문경첩과 틀경첩간의 설치 오차로 인해 높이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 힌지축에 고리 형상의 스페이스링을 하나 또는 복수 끼워 넣는 간소한 작업만으로 보상이 가능하므로 시공성을 개선시키는 이점이 있다.
HINGE FOR FLANGE TYPE FIRE DOORE
사면날개형 방화문용 힌지
TAK WOO CHAN (Autor:in)
10.11.2016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5D
Scharniere oder andere Aufhängevorrichtungen für Türen, Fenster oder Flügel
,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6B
Feste oder bewegliche Abschlüsse für Öffnungen in Bauwerken, Fahrzeugen, Zäunen oder ähnlichen Einfriedungen allgemein, z.B. Türen, Fenster, Läden, Tore
,
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Hinge assembly to pivotably mount blind flange to pipe weld neck flange
Europäisches Patentamt | 2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