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ROLL SCREEN FILTER APPARATUS HAVING CLEANING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 screen filter apparatus in which a screen filter is vertically slid to filter contaminants of air introduced into an indoor space from the outside, comprising: a frame structure installed along a window frame; and a filter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structure, and embedded with a screen filter for filtering contaminants of air introduced into an indoor space from the outside, and a roller bar for winding the screen filter. The roll screen filter apparatus, in which the screen filter is vertically slid along the frame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suction port extended to have the length corresponding to a horizontal length of the screen filter, and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creen filter at a lower side of the filter unit; a blower for generating suction force by rotation of a motor; a pipe for connecting the suction port and the blower; a filter for filtering contaminants of air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through the pipe by the suction force of the blower; and a dust collecting tank for collecting the filtered contaminants.
본 발명은 실외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오염물질을 여과하도록 스크린 필터가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롤 스크린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창틀을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체,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에 설치되되, 실외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스크린 필터와 스크린 필터를 감는 롤러 바를 내장한 필터 유닛을 포함하고, 스크린 필터가 프레임 구조체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롤 스크린 필터 장치에 있어서, 스크린 필터의 가로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되, 필터 유닛의 하측에 스크린 필터의 일면과 서로 맞닿도록 설치되는 흡입구, 모터의 회전에 의해 흡입력을 생성하는 송풍기, 흡입구와 송풍기를 연결하는 배관, 송풍기의 흡입력에 의하여 배관을 통해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및 여과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집진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OLL SCREEN FILTER APPARATUS HAVING CLEANING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 screen filter apparatus in which a screen filter is vertically slid to filter contaminants of air introduced into an indoor space from the outside, comprising: a frame structure installed along a window frame; and a filter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structure, and embedded with a screen filter for filtering contaminants of air introduced into an indoor space from the outside, and a roller bar for winding the screen filter. The roll screen filter apparatus, in which the screen filter is vertically slid along the frame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suction port extended to have the length corresponding to a horizontal length of the screen filter, and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creen filter at a lower side of the filter unit; a blower for generating suction force by rotation of a motor; a pipe for connecting the suction port and the blower; a filter for filtering contaminants of air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through the pipe by the suction force of the blower; and a dust collecting tank for collecting the filtered contaminants.
본 발명은 실외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오염물질을 여과하도록 스크린 필터가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롤 스크린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창틀을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체,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에 설치되되, 실외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스크린 필터와 스크린 필터를 감는 롤러 바를 내장한 필터 유닛을 포함하고, 스크린 필터가 프레임 구조체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롤 스크린 필터 장치에 있어서, 스크린 필터의 가로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되, 필터 유닛의 하측에 스크린 필터의 일면과 서로 맞닿도록 설치되는 흡입구, 모터의 회전에 의해 흡입력을 생성하는 송풍기, 흡입구와 송풍기를 연결하는 배관, 송풍기의 흡입력에 의하여 배관을 통해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및 여과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집진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OLL SCREEN FILTER APPARATUS HAVING CLEANING FUNCTION
클리닝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 필터 장치
LEE SEUNG HOON (Autor:in) / LEE JAE HAK (Autor:in)
09.03.2018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6B
Feste oder bewegliche Abschlüsse für Öffnungen in Bauwerken, Fahrzeugen, Zäunen oder ähnlichen Einfriedungen allgemein, z.B. Türen, Fenster, Läden, Tore
,
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B01D
SEPARATION
,
Trennen
Europäisches Patentamt | 2016
|MULTIFUNCTIONAL DUAL ROLL BLIND HAVING ROLL SCREEN AND ROLL SCREEN USED THEREFOR
Europäisches Patentamt | 2016
|Multifunctional Dual Roll Blind Having Roll Screen and Roll Screen Used Therefore
Europäisches Patentamt | 2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