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Clay Bricks Using Sawdus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y brick using simultaneously sawdust for a raw material of a brick composition and surface treatment of a brick,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of.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brick comprises the steps of: (S1) preparing foundation soil and extruding a brick forming body; (S2) spraying sawdust on a surface of the brick forming body extruded from the step 1 and performing surface treatment; and (S3) drying and firing the brick forming body, wherein the step 2 further comprises a step of spraying the sawdust and spraying at least one colored pigment of Fe_2O_3, MnO_2 and zirconium simultaneously or after spraying.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 고령토 50~75 중량%, 점토 10~30 중량%, 장석 10~20 중량% 및 톱밥 5~20 중량%를 포함하는 소지토로부터 제조되며, 톱밥이 살포된 상태로 표면에 고착 및 탄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톱밥 단독 또는 톱밥과 금속산화물, 폐유리, 무기안료 또는 후락스 등의 혼합 재료를 이용하여 점토벽돌의 표면을 가공 처리함으로써 기존의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진 제품으로는 구현할 수 없었던 전혀 다른 질감과 색상, 자연스러운 감성 및 고풍스러움 등을 연출할 수 있고, 소지 조성물로 톱밥을 활용함으로써 건설업계와 점토벽돌업계의 오랜 숙원이었던 경량, 단열, 보온 및 차음 성능 구현이 가능함과 동시에 연료 및 원료비 등의 절감을 통해 제조원가도 대폭 삭감할 수 있는 점토벽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토벽돌은 구조재이자 치장재로 동시에 활용할 수 있어 공사기간의 단축과 자재비, 시공비, 시공 후 유지관리비, 물류비 등 전반적인 건설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고, 조성물에 포함될 수도 있는 중금속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초고온 소결로 인해 용융, 고형화, 안정화됨에 따라 점토벽돌의 사용 및 폐기 후 용출될 수 있는 이차 오염원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국내 품질기준인 KSL4201은 물론, 세계 유명품질기준인 JIS, ASTM 품질기준을 능가하는 수준의 우수한 품질을 나타낼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폐기물의 자원화, 지하자원 보존, 연료사용 저감, 제반 생산원가 및 물류비 저감, 미감증진, 국토의 황폐화 방지, 수출증대 및 수입대체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y Bricks Using Sawdus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y brick using simultaneously sawdust for a raw material of a brick composition and surface treatment of a brick,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of.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brick comprises the steps of: (S1) preparing foundation soil and extruding a brick forming body; (S2) spraying sawdust on a surface of the brick forming body extruded from the step 1 and performing surface treatment; and (S3) drying and firing the brick forming body, wherein the step 2 further comprises a step of spraying the sawdust and spraying at least one colored pigment of Fe_2O_3, MnO_2 and zirconium simultaneously or after spraying.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 고령토 50~75 중량%, 점토 10~30 중량%, 장석 10~20 중량% 및 톱밥 5~20 중량%를 포함하는 소지토로부터 제조되며, 톱밥이 살포된 상태로 표면에 고착 및 탄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톱밥 단독 또는 톱밥과 금속산화물, 폐유리, 무기안료 또는 후락스 등의 혼합 재료를 이용하여 점토벽돌의 표면을 가공 처리함으로써 기존의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진 제품으로는 구현할 수 없었던 전혀 다른 질감과 색상, 자연스러운 감성 및 고풍스러움 등을 연출할 수 있고, 소지 조성물로 톱밥을 활용함으로써 건설업계와 점토벽돌업계의 오랜 숙원이었던 경량, 단열, 보온 및 차음 성능 구현이 가능함과 동시에 연료 및 원료비 등의 절감을 통해 제조원가도 대폭 삭감할 수 있는 점토벽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토벽돌은 구조재이자 치장재로 동시에 활용할 수 있어 공사기간의 단축과 자재비, 시공비, 시공 후 유지관리비, 물류비 등 전반적인 건설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고, 조성물에 포함될 수도 있는 중금속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초고온 소결로 인해 용융, 고형화, 안정화됨에 따라 점토벽돌의 사용 및 폐기 후 용출될 수 있는 이차 오염원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국내 품질기준인 KSL4201은 물론, 세계 유명품질기준인 JIS, ASTM 품질기준을 능가하는 수준의 우수한 품질을 나타낼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폐기물의 자원화, 지하자원 보존, 연료사용 저감, 제반 생산원가 및 물류비 저감, 미감증진, 국토의 황폐화 방지, 수출증대 및 수입대체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y Bricks Using Sawdus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톱밥을 벽돌 조성의 원료와 벽돌의 표면처리에 동시에 활용한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LEE JUNG HWAN (author) / KIM YOON SOO (author)
2017-02-09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B28B
Formgeben von Ton oder anderen keramischen Stoffzusammensetzungen, Schlacke oder von Mischungen, die zementartiges Material enthalten, z.B. Putzmörtel
,
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LAG OR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C04B
Kalk
,
LIME
/
E04B
Allgemeine Baukonstruktionen
,
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
E04C
STRUCTURAL ELEMENTS
,
Bauelemente
Effect of addition of sawdust ash to clay bricks
Online Contents | 2006
|Effect of addition of sawdust ash to clay bricks
British Library Online Contents | 2006
|Method for manufacturing emotional clay bricks and emotional clay bricks manufactured by the same
European Patent Office | 2018
|European Patent Office | 2019
|European Patent Office | 2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