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ight controllable trench, freely controlling a gradient differenc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horizontal support frames having the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aving a support unit where one side end part of a trench cover is mounted in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having a position control unit having protrusions of which a cross-sectional surface has a T shape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lower portion thereof; a floor frame having predetermined width and the predetermined length, having a support unit at the predetermined height having the protrusions corresponding the position control unit to enable the position control unit of the support frames to be coupled 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hrough an insertion fitting method, and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unit of which a cross-sectional surface has a T shape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joint plate inserted between the floor frame and another floor frame installed near the floor frame to fill a gap caused by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loor frames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unit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unit and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본 발명은 구배차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 트렌치 커버의 한쪽 단부가 안착되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면의 형상이 T형인 요철을 다수 갖는 위치조절부가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받침프레임과,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폭 방향 양측에 상기 받침프레임들의 위치조절부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위치조절부와 대응되는 요철을 다수 갖는 지지부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고, 하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면의 형상이 T형인 결합돌부가 형성된 바닥프레임 및 상기 바닥프레임과 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바닥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상기 바닥프레임과 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바닥프레임 간의 높낮이차로 인한 틈새를 메우며, 상면에 상기 결합돌부와 대응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된 이음매판을 포함하는 트렌치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ight controllable trench, freely controlling a gradient differenc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horizontal support frames having the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aving a support unit where one side end part of a trench cover is mounted in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having a position control unit having protrusions of which a cross-sectional surface has a T shape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lower portion thereof; a floor frame having predetermined width and the predetermined length, having a support unit at the predetermined height having the protrusions corresponding the position control unit to enable the position control unit of the support frames to be coupled 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hrough an insertion fitting method, and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unit of which a cross-sectional surface has a T shape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joint plate inserted between the floor frame and another floor frame installed near the floor frame to fill a gap caused by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loor frames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unit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unit and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본 발명은 구배차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 트렌치 커버의 한쪽 단부가 안착되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면의 형상이 T형인 요철을 다수 갖는 위치조절부가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받침프레임과,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폭 방향 양측에 상기 받침프레임들의 위치조절부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위치조절부와 대응되는 요철을 다수 갖는 지지부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고, 하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면의 형상이 T형인 결합돌부가 형성된 바닥프레임 및 상기 바닥프레임과 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바닥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상기 바닥프레임과 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바닥프레임 간의 높낮이차로 인한 틈새를 메우며, 상면에 상기 결합돌부와 대응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된 이음매판을 포함하는 트렌치를 개시한다.
SETTING HEIGHT ADJUSTING TYPE TRENCH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
KIM JONG KOOK (author)
2017-09-19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3F
SEWERS
,
Abwasserkanä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