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Vehicles entering the pile for braille tactile suppression
본 발명은 차량진입 억제용 점자 촉지 말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을 억제하는 점자 촉지 말뚝에 있어서, 지면에 매립되는 제1몸체(100); 상기 제1몸체(100)의 외측을 감싸며 구성되는 제2몸체(200); 상기 제2몸체(200)의 외측을 감싸며 구성되며 외측에 상하부로 다수의 탄성돌기(330)와 둘레에 반사부(340)가 각각 형성되는 제3몸체(300); 상기 제2몸체(200)의 외측에 상기 제3몸체(300)의 내측과 각각 연결되는 탄성체(400); 일측에 다수의 점자정보(510)가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200)의 상부에 구성되는 점자부(500); 로 구성됨으로써, 점자 촉지 말뚝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세분화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손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부에 점자부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편리성을 부여하는 한편, 시각장애인들과 마찰이 일어날 시에도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차량 등 충격이 발생할 시 충격이 가해진 방향으로 이동 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이 가능하여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Vehicles entering the pile for braille tactile suppression
본 발명은 차량진입 억제용 점자 촉지 말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을 억제하는 점자 촉지 말뚝에 있어서, 지면에 매립되는 제1몸체(100); 상기 제1몸체(100)의 외측을 감싸며 구성되는 제2몸체(200); 상기 제2몸체(200)의 외측을 감싸며 구성되며 외측에 상하부로 다수의 탄성돌기(330)와 둘레에 반사부(340)가 각각 형성되는 제3몸체(300); 상기 제2몸체(200)의 외측에 상기 제3몸체(300)의 내측과 각각 연결되는 탄성체(400); 일측에 다수의 점자정보(510)가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200)의 상부에 구성되는 점자부(500); 로 구성됨으로써, 점자 촉지 말뚝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세분화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손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부에 점자부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편리성을 부여하는 한편, 시각장애인들과 마찰이 일어날 시에도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차량 등 충격이 발생할 시 충격이 가해진 방향으로 이동 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이 가능하여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Vehicles entering the pile for braille tactile suppression
차량진입 억제용 점자 촉지 말뚝
SHIN DONG HYUN (author)
2017-10-26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1F
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Zusätzliche Baumaßnahmen, wie die Ausstattung von Straßen oder die bauliche Ausbildung von Bahnsteigen, Landeplätzen für Hubschrauber, Wegweisern, Schneezäunen oder dgl.
Development of a tactile sensor for Braille pattern recognition: sensor design and simulation
British Library Online Contents | 2005
|European Patent Office |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