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finger from being jammed, which comprises: a base (110) attached to a door (210); a pressing plate (130) formed to cover the base (110); an adsorption plate (120); a rubber pad (150) attached to the pressing plate (130); and a spring (140) formed to lift the pressing plat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oor is formed to be smoothly opened and closed when a child only presses a pressing plate even without an assistance of a supervisor.
본 발명은 한쪽이 개방된 육면체 통 모양을 하고 문(210)에 부착되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를 덮는 구조로 형성되고 힌지핀(143)에 의해 베이스(110)와 힌지 결합을 형성한 누름판(130)과; 누름판(130)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부(123)에 의해 누름판(130)에 유동성을 가지도록 부착된 흡착판(120)과; 힌지핀(143)을 기준으로 흡착판(120)와 반대쪽인 누름판(130) 단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누름판(130)에 부착된 고무패드(150)와; 힌지핀(143)을 감아서 나온 양단이 베이스(110)과 누름판(130)을 각각 받치도록 형성되어 탄성에 의해 누름판(130)을 들어 올리도록 형성된 스프링(140);으로 이루어지되,평소 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베이스(110)와 누름판(130) 사이에 형성된 스프링(140) 탄성에 의해 힌지핀(130)을 중심으로 누름판(130)은 들리게 되고 힌지핀(130) 반대쪽의 고무패드(150)는 내려간 상태가 되면서 고무패드(150) 걸림끝(151)이 문틀(220)에 걸리게 되어 문이 닫히지 않는 걸림상태가 되며, 걸림상태에서 문을 닫고자 누름판(130)을 누르게 되면 힌지핀(143)을 회전축으로 고무패드(150) 걸림끝(151)은 문틀(220)로부터 이탈되어 걸림 해제상태가 되어 문을 닫을 수 있는 상태가 되며, 걸림 해제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베이스(110)와 흡착판(120) 사이를 통하여 흠착판 내로 미량의 공기가 유입되어 흡착판(120)은 베이스(110)에서 자연스럽게 떨어지면서 힌지핀(130)을 중심으로 누름판(130)은 들리고 힌지핀(130) 반대쪽의 고무패드(150)는 내려간 상태가 되어 문을 열게 되면 고무패드(150)의 걸림끝(151)이 문틀(220) 걸리는 걸림상태로 되어 문이 평소 열린 상태로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끼임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관리자의 도움 없이도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에서 어린이들이 누름판만 누러면 문을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finger from being jammed, which comprises: a base (110) attached to a door (210); a pressing plate (130) formed to cover the base (110); an adsorption plate (120); a rubber pad (150) attached to the pressing plate (130); and a spring (140) formed to lift the pressing plat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oor is formed to be smoothly opened and closed when a child only presses a pressing plate even without an assistance of a supervisor.
본 발명은 한쪽이 개방된 육면체 통 모양을 하고 문(210)에 부착되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를 덮는 구조로 형성되고 힌지핀(143)에 의해 베이스(110)와 힌지 결합을 형성한 누름판(130)과; 누름판(130)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부(123)에 의해 누름판(130)에 유동성을 가지도록 부착된 흡착판(120)과; 힌지핀(143)을 기준으로 흡착판(120)와 반대쪽인 누름판(130) 단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누름판(130)에 부착된 고무패드(150)와; 힌지핀(143)을 감아서 나온 양단이 베이스(110)과 누름판(130)을 각각 받치도록 형성되어 탄성에 의해 누름판(130)을 들어 올리도록 형성된 스프링(140);으로 이루어지되,평소 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베이스(110)와 누름판(130) 사이에 형성된 스프링(140) 탄성에 의해 힌지핀(130)을 중심으로 누름판(130)은 들리게 되고 힌지핀(130) 반대쪽의 고무패드(150)는 내려간 상태가 되면서 고무패드(150) 걸림끝(151)이 문틀(220)에 걸리게 되어 문이 닫히지 않는 걸림상태가 되며, 걸림상태에서 문을 닫고자 누름판(130)을 누르게 되면 힌지핀(143)을 회전축으로 고무패드(150) 걸림끝(151)은 문틀(220)로부터 이탈되어 걸림 해제상태가 되어 문을 닫을 수 있는 상태가 되며, 걸림 해제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베이스(110)와 흡착판(120) 사이를 통하여 흠착판 내로 미량의 공기가 유입되어 흡착판(120)은 베이스(110)에서 자연스럽게 떨어지면서 힌지핀(130)을 중심으로 누름판(130)은 들리고 힌지핀(130) 반대쪽의 고무패드(150)는 내려간 상태가 되어 문을 열게 되면 고무패드(150)의 걸림끝(151)이 문틀(220) 걸리는 걸림상태로 되어 문이 평소 열린 상태로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끼임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관리자의 도움 없이도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에서 어린이들이 누름판만 누러면 문을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Finger pinch protection device
손가락 끼임 방지구
LEE SOO HAENG (author)
2017-11-29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6B
Feste oder bewegliche Abschlüsse für Öffnungen in Bauwerken, Fahrzeugen, Zäunen oder ähnlichen Einfriedungen allgemein, z.B. Türen, Fenster, Läden, Tore
,
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5D
Scharniere oder andere Aufhängevorrichtungen für Türen, Fenster oder Flügel
,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