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Floodgate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salt field
본 발명은 염전용 수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염전용 수문 개폐장치(1)의 외관의 일부를 이루는 하부케이스(10)에는 염수가 통과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통되게 염수통로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염수통로공간(12)에는 상기 염수통로공간(1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문판(20)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부에는 상부케이스(30)가 결합된다. 상기 상부케이스(30)의 설치공간(32)에는 상기 수문판(20)이 회동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수문판(20)의 일면과 상기 동력전달부재(40)의 일단부는 힌지어셈블리(6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힌지어셈블리(60)는 상기 수문판(20)이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40)의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치공간(32)에는 상기 동력전달부재(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외부로부터 수신받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70)에 전달하는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40)의 작동은 상기 수신부로 상기 동력전달부재(40)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조작부(80)에 의해 조절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제어로 통로를 개폐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현재 운영중인 염전에 즉각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loodgate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salt field
본 발명은 염전용 수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염전용 수문 개폐장치(1)의 외관의 일부를 이루는 하부케이스(10)에는 염수가 통과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통되게 염수통로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염수통로공간(12)에는 상기 염수통로공간(1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문판(20)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부에는 상부케이스(30)가 결합된다. 상기 상부케이스(30)의 설치공간(32)에는 상기 수문판(20)이 회동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수문판(20)의 일면과 상기 동력전달부재(40)의 일단부는 힌지어셈블리(6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힌지어셈블리(60)는 상기 수문판(20)이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40)의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치공간(32)에는 상기 동력전달부재(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외부로부터 수신받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70)에 전달하는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40)의 작동은 상기 수신부로 상기 동력전달부재(40)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조작부(80)에 의해 조절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제어로 통로를 개폐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현재 운영중인 염전에 즉각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loodgate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salt field
염전용 수문 개폐장치
2018-09-04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2B
HYDRAULIC ENGINEERING
,
Wasserb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