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BUILDING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LAYERS
An architectural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layers is disclosed. The floor structure comprises: an upper vibration damping unit installed on a concrete slab and reducing vibration of the slab due to an impact from the outside; and a lower vibration damping unit reducing noise caused by the vibration of the slab not to be transmitted to a lower layer. The upper vibration damping unit includes a cushioning plate embedded in the concrete slab, openable fixing boxes installed on both walls connected to the slab, and a plurality of cushioning cables installed in a bottom portion of the cushioning plate, which is wired so that a central portion thereof is lower than the fixing boxes and both longitudinal ends thereof are fixed to the fixing boxes, respectively.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슬래브의 강성 증대를 통해 슬래브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슬래브의 진동 및 진동 소음을 줄이고, 동시에 소음을 하층쪽에서 감쇠 및 분산시켜 하층 거주자가 느끼는 소음을 줄여줌으로써 거주 환경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구조물은, 콘크리트의 슬래브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 인한 상기 슬래브의 진동을 감소시키는 상측 진동 감쇠부(100)와; 상기 슬래브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하층 방음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진동 감쇠부는, 콘크리트의 슬래브에 매설되는 완충플레이트(110), 상기 슬래브와 연결되는 양쪽의 벽체에 설치되는 개폐형의 정착 박스(120), 상기 완충플레이트의 저부에 중앙부가 상기 정착 박스보다 낮도록 배선되며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정착 박스에 정착되는 다수의 완충 케이블(130)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플레이트는, 판상의 완충부, 상기 완충부의 저부에 상기 완충 케이블의 배선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편 중앙부가 저부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쉬스관이 안착되는 배선 가이드부, 상기 배선 가이드부에 양측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래브 안에 배근되는 슬래브 철근이 관통하는 슬래브철근 배근부, 상기 완충부의 저부에 설치되는 레벨링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정착 박스는, 내부에 상기 완충 케이블의 단부가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되면서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박스 형태이며 상기 벽체 안에 매설되는 박스 본체, 상기 박스 본체의 둘레부에 형성되며 상기 벽체에 배근되는 벽체 철근이 관통 고정되는 벽체철근 배근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케이블은, 상기 완충플레이트를 횡단하는 방향을 따라 쉬스관을 매개로 하여 중앙부가 하부를 향해 볼록하도록 배선되며 상기 완충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슬래브에 상부를 향하는 힘을 부여하여 상기 슬래브의 진동을 감쇠한다.
BUILDING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LAYERS
An architectural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layers is disclosed. The floor structure comprises: an upper vibration damping unit installed on a concrete slab and reducing vibration of the slab due to an impact from the outside; and a lower vibration damping unit reducing noise caused by the vibration of the slab not to be transmitted to a lower layer. The upper vibration damping unit includes a cushioning plate embedded in the concrete slab, openable fixing boxes installed on both walls connected to the slab, and a plurality of cushioning cables installed in a bottom portion of the cushioning plate, which is wired so that a central portion thereof is lower than the fixing boxes and both longitudinal ends thereof are fixed to the fixing boxes, respectively.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슬래브의 강성 증대를 통해 슬래브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슬래브의 진동 및 진동 소음을 줄이고, 동시에 소음을 하층쪽에서 감쇠 및 분산시켜 하층 거주자가 느끼는 소음을 줄여줌으로써 거주 환경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구조물은, 콘크리트의 슬래브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 인한 상기 슬래브의 진동을 감소시키는 상측 진동 감쇠부(100)와; 상기 슬래브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하층 방음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진동 감쇠부는, 콘크리트의 슬래브에 매설되는 완충플레이트(110), 상기 슬래브와 연결되는 양쪽의 벽체에 설치되는 개폐형의 정착 박스(120), 상기 완충플레이트의 저부에 중앙부가 상기 정착 박스보다 낮도록 배선되며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정착 박스에 정착되는 다수의 완충 케이블(130)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플레이트는, 판상의 완충부, 상기 완충부의 저부에 상기 완충 케이블의 배선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편 중앙부가 저부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쉬스관이 안착되는 배선 가이드부, 상기 배선 가이드부에 양측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래브 안에 배근되는 슬래브 철근이 관통하는 슬래브철근 배근부, 상기 완충부의 저부에 설치되는 레벨링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정착 박스는, 내부에 상기 완충 케이블의 단부가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되면서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박스 형태이며 상기 벽체 안에 매설되는 박스 본체, 상기 박스 본체의 둘레부에 형성되며 상기 벽체에 배근되는 벽체 철근이 관통 고정되는 벽체철근 배근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케이블은, 상기 완충플레이트를 횡단하는 방향을 따라 쉬스관을 매개로 하여 중앙부가 하부를 향해 볼록하도록 배선되며 상기 완충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슬래브에 상부를 향하는 힘을 부여하여 상기 슬래브의 진동을 감쇠한다.
BUILDING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LAYERS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구조물
JEONG GYEONG SU (author)
2019-08-28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4B
Allgemeine Baukonstruktionen
,
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