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Indoor Finishing Member for a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실내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통공이 두께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유공격실지지판부와, 상기 유공격실지지판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상기 유공격실지지판부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유공격실테두리부와, 유공격실바닥면에 상기 통공을 하나씩 갖는 유공격실이 상기 유공격실테두리부의 내측에 형성되도록 상기 유공격실지지판부로부터 상기 유공격실지지판부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유공격실형성격벽부를 구비한 프레임부와; 상기 통공의 각각에 충진된 통공충진부와 상기 유공격실의 각각에 충진된 유공격실충진부와 상기 유공격실충진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유공격실형성격벽부의 상단을 둘러싸는 유공영역연결부를 갖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된 마감기능재질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각 격실에 충진된 마감기능재료가 프레임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마감재로서의 마감기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Indoor Finishing Member for a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실내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통공이 두께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유공격실지지판부와, 상기 유공격실지지판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상기 유공격실지지판부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유공격실테두리부와, 유공격실바닥면에 상기 통공을 하나씩 갖는 유공격실이 상기 유공격실테두리부의 내측에 형성되도록 상기 유공격실지지판부로부터 상기 유공격실지지판부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유공격실형성격벽부를 구비한 프레임부와; 상기 통공의 각각에 충진된 통공충진부와 상기 유공격실의 각각에 충진된 유공격실충진부와 상기 유공격실충진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유공격실형성격벽부의 상단을 둘러싸는 유공영역연결부를 갖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된 마감기능재질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각 격실에 충진된 마감기능재료가 프레임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마감재로서의 마감기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Indoor Finishing Member for a Building
건축용 실내마감재
2019-09-11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