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INDOOR FINISHING MATERIAL FOR A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wall finishing material for a building. The indoor wall finishing material for a building maintains a clean indoor space and is easily maintained and re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wall finishing material for the building comprises: a plurality of longitudinal supports (10) fixated to a wall surface through a fastener (11); a transverse support (20) arranged between the longitudinal supports (10); a deodorizing box (30) having a box shape, storing a deodorant; and a decoration cover (40) covering the deodorizing box (30) to prevent the deodorizing box from being exposed. The longitudinal support (10) comprises: a rear surface fixing unit (12), a connection unit (13), a front surface unit (14), and an air flow passage (15). The transverse support (20) has a groove, and the deodorizing box (30) comprises a hexagonal frame (31), a guard net (32), and the porous deodorant (33).
본 발명은 건축물 실내 벽면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 실내를 다양한 분위 기로 쉽게 연출하고 실내 공기를 탈취하여 실내를 청정하게 유지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실내 벽면 마감재는, 건축물 실내의 벽면에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체결구(11)를 통해 벽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종방향 지지대(10)와; 상기 종방향 지지대(10)들의 사이에 서로 다른 높이로 배열되면서 좌우 양측 단부가 이웃하는 종방향 지지대(10)에 결합되어 상기 종방향 지지대(10)와 함께 격자형태를 이루는 횡방향 지지대(20)와; 실내 공기를 탈취하는 탈취제가 담긴 박스 형태이며 상기 종방향 지지대(10)와 횡방향 지지대(20)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의 공간에 결합되어 실내 공기를 탈취하며 실내를 향하는 표면에 장식 커버가 구성된 탈취 박스(30)와; 상기 탈취 박스(30)가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장식 커버(40)를 포함하며, 상기 종방향 지지대(10)는, 실내 벽면에 지지되며 체결구(11)를 통해 실내 벽면에 고정되는 배면 고정부(12), 상기 배면 고정부(12)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13), 상기 연결부(13)의 단부에서 상기 연결부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면 고정부(12)와의 사이에 탈취박스(30) 수납부를 형성하는 전면부(14), 상기 전면부(14)와 상기 연결부(13)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14)쪽에 실내와 연통하는 유입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연결부(13)의 양쪽을 통해 장식판 수납부와 연통하는 유출부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를 상기 탈취박스(30) 수납부에 지지되는 탈취 박스(30)에 흐르도록 유도하여 상기 탈취제(33)를 통해 실내 공기를 탈취하도록 하는 공기 유로(15)를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지지대(20)는 배면띠(21)와 전면띠(22)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띠(23)로 이루어져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와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홈이 구비되며, 상기 배면띠(21)의 좌우 양측 단부가 상기 종방향 지지대(10)에 체결구(11)로 고정되고, 상기 탈취 박스(30)는 육면체형의 프레임(31), 상기 프레임(31)의 육면에 형성되는 보호망(32), 상기 프레임과 보호망 안에 수납되는 다공성의 탈취제(33)를 포함하며, 상기 장식 커버(40)는 상부와 하부가 상기 횡방향 지지대(20)에 각각 체결구(11)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탈취 박스(30)가 앞쪽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INDOOR FINISHING MATERIAL FOR A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wall finishing material for a building. The indoor wall finishing material for a building maintains a clean indoor space and is easily maintained and re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wall finishing material for the building comprises: a plurality of longitudinal supports (10) fixated to a wall surface through a fastener (11); a transverse support (20) arranged between the longitudinal supports (10); a deodorizing box (30) having a box shape, storing a deodorant; and a decoration cover (40) covering the deodorizing box (30) to prevent the deodorizing box from being exposed. The longitudinal support (10) comprises: a rear surface fixing unit (12), a connection unit (13), a front surface unit (14), and an air flow passage (15). The transverse support (20) has a groove, and the deodorizing box (30) comprises a hexagonal frame (31), a guard net (32), and the porous deodorant (33).
본 발명은 건축물 실내 벽면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 실내를 다양한 분위 기로 쉽게 연출하고 실내 공기를 탈취하여 실내를 청정하게 유지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실내 벽면 마감재는, 건축물 실내의 벽면에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체결구(11)를 통해 벽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종방향 지지대(10)와; 상기 종방향 지지대(10)들의 사이에 서로 다른 높이로 배열되면서 좌우 양측 단부가 이웃하는 종방향 지지대(10)에 결합되어 상기 종방향 지지대(10)와 함께 격자형태를 이루는 횡방향 지지대(20)와; 실내 공기를 탈취하는 탈취제가 담긴 박스 형태이며 상기 종방향 지지대(10)와 횡방향 지지대(20)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의 공간에 결합되어 실내 공기를 탈취하며 실내를 향하는 표면에 장식 커버가 구성된 탈취 박스(30)와; 상기 탈취 박스(30)가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장식 커버(40)를 포함하며, 상기 종방향 지지대(10)는, 실내 벽면에 지지되며 체결구(11)를 통해 실내 벽면에 고정되는 배면 고정부(12), 상기 배면 고정부(12)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13), 상기 연결부(13)의 단부에서 상기 연결부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면 고정부(12)와의 사이에 탈취박스(30) 수납부를 형성하는 전면부(14), 상기 전면부(14)와 상기 연결부(13)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14)쪽에 실내와 연통하는 유입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연결부(13)의 양쪽을 통해 장식판 수납부와 연통하는 유출부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를 상기 탈취박스(30) 수납부에 지지되는 탈취 박스(30)에 흐르도록 유도하여 상기 탈취제(33)를 통해 실내 공기를 탈취하도록 하는 공기 유로(15)를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지지대(20)는 배면띠(21)와 전면띠(22)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띠(23)로 이루어져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와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홈이 구비되며, 상기 배면띠(21)의 좌우 양측 단부가 상기 종방향 지지대(10)에 체결구(11)로 고정되고, 상기 탈취 박스(30)는 육면체형의 프레임(31), 상기 프레임(31)의 육면에 형성되는 보호망(32), 상기 프레임과 보호망 안에 수납되는 다공성의 탈취제(33)를 포함하며, 상기 장식 커버(40)는 상부와 하부가 상기 횡방향 지지대(20)에 각각 체결구(11)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탈취 박스(30)가 앞쪽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INDOOR FINISHING MATERIAL FOR A BUILDING
건축물 실내 벽면 마감재
OH MYEONG HUN (author)
2016-04-11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4F
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Ausbau von Bauwerken, z.B. Treppen, Fußböden
/
A61L
Verfahren oder Vorrichtungen zum Sterilisieren von Stoffen oder Gegenständen allgemein
,
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
B01J
Chemische oder physikalische Verfahren, z.B. Katalyse oder Kolloidchemie
,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