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복합도르래모듈과 스프링 구조를 조합하여 창짝의 닫힘 조작 시 일정 구간에서 창짝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할 수 있으며, 창짝의 개방 시에는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도르래를 이용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10)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창짝(20)에 설치되며, 걸림핀(110)이 구비되는 걸림부(100); 상기 창틀프레임(10)에 설치되는 본체부(200); 및 상기 본체부(200) 내의 가이드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상기 걸림핀(110)에 걸림 고정되는 후크(310)와, 상기 후크(310)의 슬라이딩 이동 시 와이어(327)를 매개로 연동될 수 있도록 본체부(200)의 일측에 고정도르래(321)와 움직도르래(325)를 혼합한 복합도르래모듈(320)이 설치되고, 본체부(200)의 타측에는 상기 움직도르래(325)와 연결되는 스프링(330)이 구비되는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상기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스프링(3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창짝(20)이 일정 구간에서 자동으로 닫히게 되고, 창짝(20)의 개방 시에는 상기 복합도르래모듈(320)을 통해 스프링(330)을 인장시킴으로써 적은 힘으로 상기 창짝(20)을 개방할 수 있다.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복합도르래모듈과 스프링 구조를 조합하여 창짝의 닫힘 조작 시 일정 구간에서 창짝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할 수 있으며, 창짝의 개방 시에는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도르래를 이용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10)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창짝(20)에 설치되며, 걸림핀(110)이 구비되는 걸림부(100); 상기 창틀프레임(10)에 설치되는 본체부(200); 및 상기 본체부(200) 내의 가이드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상기 걸림핀(110)에 걸림 고정되는 후크(310)와, 상기 후크(310)의 슬라이딩 이동 시 와이어(327)를 매개로 연동될 수 있도록 본체부(200)의 일측에 고정도르래(321)와 움직도르래(325)를 혼합한 복합도르래모듈(320)이 설치되고, 본체부(200)의 타측에는 상기 움직도르래(325)와 연결되는 스프링(330)이 구비되는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상기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스프링(3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창짝(20)이 일정 구간에서 자동으로 닫히게 되고, 창짝(20)의 개방 시에는 상기 복합도르래모듈(320)을 통해 스프링(330)을 인장시킴으로써 적은 힘으로 상기 창짝(20)을 개방할 수 있다.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도르래를 이용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2020-02-28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5F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
Vorrichtungen zum Bewegen der Flügel in die Offen- oder Schließstell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