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Sewer odor prevention system by precipitation lev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er odor prevention system for each precipitation level, which can maximize an odor blocking effect, comprising: a housing unit having a through hole; a slope unit; a flow rate measuring unit for generating flow rate data; a first drainage unit having a first drainage hole; a second drainage unit having a second drainage hole;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for each grade; and a fluid injection unit.
본 발명은 강수 수준별 하수구 악취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구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량(강수량 등)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어되는 악취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수 수준별 하수구 악취 방지 시스템은, 그레이팅이 안착되는 하수구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상기 그레이팅 하부의 하수구에 안착될 수 있게 마련되며, 바닥면에 배수가 용이한 관통홀이 마련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부면 일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단부가 하방을 향해 소정 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속을 측정하여 유속데이터를 생성하는 유속측정부,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상단면이 상기 경사부 하부면 일측을 따라 연결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를 따라 유입되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며, 측벽을 따라 배수 가능한 제 1 배수홀이 형성되는 제 1 배수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벽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배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배수홀을 통해 배수되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며, 측벽을 따라 배수 가능한 제 2 배수홀이 형성되는 제 2 배수부, 상기 유속측정부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신받고, 기존 강수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속에 따른 유량 수준을 매칭하여 강수량에 따라 등급을 생성하여 등급별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바닥면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가 형성되어,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측방향으로 분사시킬 수 있게 마련되되, 상기 제어부로부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회전속도를 차별화할 수 있게 마련되는 유체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수 수준별 하수구 악취 방지 시스템은 하수구 내부의 악취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수구로 유입되는 유체량 환경에 따라 맞춤형 제어를 통해 악취 차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wer odor prevention system by precipitation lev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er odor prevention system for each precipitation level, which can maximize an odor blocking effect, comprising: a housing unit having a through hole; a slope unit; a flow rate measuring unit for generating flow rate data; a first drainage unit having a first drainage hole; a second drainage unit having a second drainage hole;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for each grade; and a fluid injection unit.
본 발명은 강수 수준별 하수구 악취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구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량(강수량 등)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어되는 악취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수 수준별 하수구 악취 방지 시스템은, 그레이팅이 안착되는 하수구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상기 그레이팅 하부의 하수구에 안착될 수 있게 마련되며, 바닥면에 배수가 용이한 관통홀이 마련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부면 일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단부가 하방을 향해 소정 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속을 측정하여 유속데이터를 생성하는 유속측정부,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상단면이 상기 경사부 하부면 일측을 따라 연결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를 따라 유입되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며, 측벽을 따라 배수 가능한 제 1 배수홀이 형성되는 제 1 배수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벽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배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배수홀을 통해 배수되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며, 측벽을 따라 배수 가능한 제 2 배수홀이 형성되는 제 2 배수부, 상기 유속측정부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신받고, 기존 강수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속에 따른 유량 수준을 매칭하여 강수량에 따라 등급을 생성하여 등급별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바닥면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가 형성되어,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측방향으로 분사시킬 수 있게 마련되되, 상기 제어부로부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회전속도를 차별화할 수 있게 마련되는 유체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수 수준별 하수구 악취 방지 시스템은 하수구 내부의 악취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수구로 유입되는 유체량 환경에 따라 맞춤형 제어를 통해 악취 차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wer odor prevention system by precipitation level
강수 수준별 하수구 악취 방지 시스템
PARK SANG KUG (author)
2023-09-22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3F
SEWERS
,
Abwasserkanäle
/
G01F
Messen des Volumens, des Durchflussvolumens, des Massendurchflusses oder des Füllstandes
,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
G05D
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Systeme zum Steuern oder Regeln nichtelektrischer veränderlicher Größen
Odor returning prevention accessory for sewer pipe connection
European Patent Office | 2021
|Environment Friendly Odor Prevention Device of Sewer Manhole
European Patent Office | 2019
|Sewer Odor Testing and Collection System Odor Mitigation
TIBKAT | 2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