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cellent practical wire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cellent practical wire anchor comprises: a body wherein a protrusion groove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at least two first laying grooves formed from one dead en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laying groove formed from the other dead end to the inside of the body to be symmetrical to the first laying grooves.
본 발명은 실용성이 우수한 와이어앙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 끝단에 바깥쪽으로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2개 이상의 제1안치홈;과, 상기 몸체의 타 끝단에 안쪽으로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1안치홈과 대칭되는 제2안치홈;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몸체의 일단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제1안치홈과 몸체의 타단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제2안치홈의 구조로 인해, 하방에 위치하는 제1,2안치홈에 철근이 안치되면 몸체 상부의 걸림홈 높이가 높게 위치되고, 상방에 위치하는 제1,2안치홈에 철근이 안치되면 몸체의 걸림홈 높이가 낮게 위치되므로, 건축물 바닥의 높이에 적합하게 몸체의 걸림홈의 위치를 설정하여 몸체의 걸림홈이 안정적으로 바닥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제품의 실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안치홈은 바깥쪽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안치홈은 안쪽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인해, 몸체의 일단은 철근의 안쪽으로 위치되고 타단은 철근의 바깥쪽으로 위치되어 연결되는 구조상 결합 구조의 연결성(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몸체의 중심 부근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3안치홈과 제4안치홈이 다른 철근과 연결되는 구조로 인해 더욱 제품과 철근의 구조적인 연결성이 강화되도록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철근에서 몸체가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안치홈 사이에는 양면홈을 형성함으로 몸체의 일단을 철근의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cellent practical wire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cellent practical wire anchor comprises: a body wherein a protrusion groove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at least two first laying grooves formed from one dead en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laying groove formed from the other dead end to the inside of the body to be symmetrical to the first laying grooves.
본 발명은 실용성이 우수한 와이어앙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 끝단에 바깥쪽으로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2개 이상의 제1안치홈;과, 상기 몸체의 타 끝단에 안쪽으로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1안치홈과 대칭되는 제2안치홈;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몸체의 일단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제1안치홈과 몸체의 타단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제2안치홈의 구조로 인해, 하방에 위치하는 제1,2안치홈에 철근이 안치되면 몸체 상부의 걸림홈 높이가 높게 위치되고, 상방에 위치하는 제1,2안치홈에 철근이 안치되면 몸체의 걸림홈 높이가 낮게 위치되므로, 건축물 바닥의 높이에 적합하게 몸체의 걸림홈의 위치를 설정하여 몸체의 걸림홈이 안정적으로 바닥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제품의 실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안치홈은 바깥쪽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안치홈은 안쪽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인해, 몸체의 일단은 철근의 안쪽으로 위치되고 타단은 철근의 바깥쪽으로 위치되어 연결되는 구조상 결합 구조의 연결성(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몸체의 중심 부근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3안치홈과 제4안치홈이 다른 철근과 연결되는 구조로 인해 더욱 제품과 철근의 구조적인 연결성이 강화되도록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철근에서 몸체가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안치홈 사이에는 양면홈을 형성함으로 몸체의 일단을 철근의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EXCELLENT PRACTICAL WIRE ANCHOR
실용성이 우수한 와이어앙카
PYON SANG DUK (author)
2015-11-23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