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 screen device used as a partition for partitioning an indoor space, a blocking film of a window, or a screen for a window. Specifically, a guide pile and a rail bar are fixed to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a fixing bar including a screen member. A vertical bar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rail bar and the guide pile, and a frame body comprises the guide pile, the rail bar, and the vertical bar. A moving bar fixed to the scree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rame body, and the screen member is spread out and is wound by the moving bar. The roll screen device can be used by being variously transformed to the partition for dividing the indoor space, the blocking film for a window, or the screen for a window by using the screen member of a horizontal-directional unfolding type spread out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screen member is spread out and is wound in an unfolding process and a winding process while an upper end a lower end are fixed. So, the screen member is not sagged at all and is very luxurious. The linear chain enabling the lower end of the screen member to be fixed is spread out in a straight shape when the screen member is spread out. The linear chain is inserted into the moving bar when the screen member is wound. So, only the rail bar on the lower side forming the frame body is exposed when the screen member is wound. The roll screen device enables a user to freely pass and move inside and outside while the screen member is wound, by the rail bar which can be manufactured at a minimum height. Also, the roll screen device can expand an opening space in the frame body.
본 발명은 실내 구획용 칸막이 또는 창호의 차단막 또는 창호용 방충망으로 사용되는 롤 스크린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부재가 내장된 고정바의 상,하단에는 각기 가이드파일과 레일바를 고정 형성하고 이들 가이드파일과 레일바의 끝단에는 수직바를 결합 형성하여 이들에 의해 프레임체가 구성되고 하고, 상기 프레임체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린부재와 고정된 유동바를 삽입 형성하여 상기 유동바로 인해 스크린부재가 전개 및 권취되도록 함에 따라,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펼쳐지는 횡방향 전개 방식의 스크린부재로 인해 실내 구획용 칸막이 혹은 창호용 차단막 혹은 창호용 방충망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스크린부재는 전개 및 권취 과정에서 상,하단이 구속 계지된 상태로 전개 및 권취되므로 스크린부재의 처짐이나 늘어짐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매우 고급스러운 것이며, 스크린부재의 하단이 구속 계지되게 한 리니어 체인은 스크린부재의 전개시에는 일자 형태로 펼쳐지고 스크린부재가 권취된 상태에서는 유동바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스크린부재의 권취상태에서는 프레임체를 구성하고 있는 하측의 레일바만이 노출되면서, 최소의 높이로 제작 가능한 레일바로 인해 스크린부재가 권취된 상태에서 통행이나 출입이 자유로운 것은 물론 프레임체 내부의 개방 공간이 확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 screen device used as a partition for partitioning an indoor space, a blocking film of a window, or a screen for a window. Specifically, a guide pile and a rail bar are fixed to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a fixing bar including a screen member. A vertical bar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rail bar and the guide pile, and a frame body comprises the guide pile, the rail bar, and the vertical bar. A moving bar fixed to the scree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rame body, and the screen member is spread out and is wound by the moving bar. The roll screen device can be used by being variously transformed to the partition for dividing the indoor space, the blocking film for a window, or the screen for a window by using the screen member of a horizontal-directional unfolding type spread out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screen member is spread out and is wound in an unfolding process and a winding process while an upper end a lower end are fixed. So, the screen member is not sagged at all and is very luxurious. The linear chain enabling the lower end of the screen member to be fixed is spread out in a straight shape when the screen member is spread out. The linear chain is inserted into the moving bar when the screen member is wound. So, only the rail bar on the lower side forming the frame body is exposed when the screen member is wound. The roll screen device enables a user to freely pass and move inside and outside while the screen member is wound, by the rail bar which can be manufactured at a minimum height. Also, the roll screen device can expand an opening space in the frame body.
본 발명은 실내 구획용 칸막이 또는 창호의 차단막 또는 창호용 방충망으로 사용되는 롤 스크린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부재가 내장된 고정바의 상,하단에는 각기 가이드파일과 레일바를 고정 형성하고 이들 가이드파일과 레일바의 끝단에는 수직바를 결합 형성하여 이들에 의해 프레임체가 구성되고 하고, 상기 프레임체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린부재와 고정된 유동바를 삽입 형성하여 상기 유동바로 인해 스크린부재가 전개 및 권취되도록 함에 따라,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펼쳐지는 횡방향 전개 방식의 스크린부재로 인해 실내 구획용 칸막이 혹은 창호용 차단막 혹은 창호용 방충망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스크린부재는 전개 및 권취 과정에서 상,하단이 구속 계지된 상태로 전개 및 권취되므로 스크린부재의 처짐이나 늘어짐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매우 고급스러운 것이며, 스크린부재의 하단이 구속 계지되게 한 리니어 체인은 스크린부재의 전개시에는 일자 형태로 펼쳐지고 스크린부재가 권취된 상태에서는 유동바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스크린부재의 권취상태에서는 프레임체를 구성하고 있는 하측의 레일바만이 노출되면서, 최소의 높이로 제작 가능한 레일바로 인해 스크린부재가 권취된 상태에서 통행이나 출입이 자유로운 것은 물론 프레임체 내부의 개방 공간이 확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Roll screen devices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BAK U DAE (author)
2018-02-07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4B
Allgemeine Baukonstruktionen
,
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
E06B
Feste oder bewegliche Abschlüsse für Öffnungen in Bauwerken, Fahrzeugen, Zäunen oder ähnlichen Einfriedungen allgemein, z.B. Türen, Fenster, Läden, Tore
,
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