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eet fix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et fixing frame includes an auxiliary space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a harpoon reception part, wherein the auxiliary space part more moves a harpoon, which is connected to a sheet,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harpoon reception part inside a frame body, to an upper side inside the harpoon reception part. In particular, the width of an inlet part of the auxiliary space part is less than that of an opening part of the harpoon reception part. Accordingly, in separation of the harpoon from the harpoon reception part, when the sheet is downwardly pulled after the harpoon is pushed up to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space part, the inner and outer parts of the harpoon are lowered in the auxiliary space part in a state of being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inner and outer parts of the harpoon are safely and easily pulled out through the opening part of the harpoon reception part before being extended more than the horizontal width of the opening part of the harpoon reception part, thereby the harpoon and the sheet are able to be simply and easily separated from the frame.
본 발명의 시트 고정용 프레임은, 시트에 연결되어 프레임 몸체 내부의 하푼수용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푼이 상기 하푼수용부 내부에서 상측으로 더 이동하게 하여 하푼의 탈착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보조공간부가 상기 하푼수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특히 상기 보조공간부의 입구부 폭을 하푼수용부의 개구부 폭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하푼을 하푼수용부에서 분리시 하푼을 보조공간부에 삽입되도록 밀어올린 후 시트를 하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하푼의 내측부와 외측부가 포개진 상태로 상기 보조공간부에서 하강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푼의 내측부와 외측부가 하푼수용부의 개구부 가로 폭 이상으로 벌어지게 전에 하푼수용부의 개구부를 통해 안전하고 용이하게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하푼 및 시트를 프레임으로부터 간단하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시트 고정요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eet fix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et fixing frame includes an auxiliary space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a harpoon reception part, wherein the auxiliary space part more moves a harpoon, which is connected to a sheet,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harpoon reception part inside a frame body, to an upper side inside the harpoon reception part. In particular, the width of an inlet part of the auxiliary space part is less than that of an opening part of the harpoon reception part. Accordingly, in separation of the harpoon from the harpoon reception part, when the sheet is downwardly pulled after the harpoon is pushed up to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space part, the inner and outer parts of the harpoon are lowered in the auxiliary space part in a state of being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inner and outer parts of the harpoon are safely and easily pulled out through the opening part of the harpoon reception part before being extended more than the horizontal width of the opening part of the harpoon reception part, thereby the harpoon and the sheet are able to be simply and easily separated from the frame.
본 발명의 시트 고정용 프레임은, 시트에 연결되어 프레임 몸체 내부의 하푼수용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푼이 상기 하푼수용부 내부에서 상측으로 더 이동하게 하여 하푼의 탈착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보조공간부가 상기 하푼수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특히 상기 보조공간부의 입구부 폭을 하푼수용부의 개구부 폭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하푼을 하푼수용부에서 분리시 하푼을 보조공간부에 삽입되도록 밀어올린 후 시트를 하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하푼의 내측부와 외측부가 포개진 상태로 상기 보조공간부에서 하강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푼의 내측부와 외측부가 하푼수용부의 개구부 가로 폭 이상으로 벌어지게 전에 하푼수용부의 개구부를 통해 안전하고 용이하게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하푼 및 시트를 프레임으로부터 간단하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시트 고정요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A frame for fixing sheet
시트 고정용 프레임
GO CHUNG HUN (author)
2018-10-02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4B
Allgemeine Baukonstruktionen
,
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