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SELF-DRIVING EXCAVATOR
Disclosed is an excavator with a sens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cavator comprises: an upper body having an operator cab in which a driver can board and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power generation device can be installed; a lower body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 front working device for performing work by having a boom extending from the upper body, an arm coupled to one end of the boom, and a bucket coupled to one end of the arm; first to third sensors mounted on the upper body to recognize terrain and obstacles;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s. The first sensor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operator cab to form a first sensing area for sensing the front working device. The second sensor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or cab to form a second sensing area for sensing a lateral area of the upper body. The third sensor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body excluding the operator cab to form a third sensing area for sensing a lateral area of the upper body facing the second sensing area.
본원에서는 센서가 부착된 굴삭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면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는 운전실과 동력발생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상부체와 상기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하부체와 상기 상부체로부터 연장되는 붐과 상기 붐의 일단에 결합되는 암과 상기 암의 일단에 결합되는 버킷을 구비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프론트 작업장치와 상기 상부체에 장착되어 지형 및 장애물을 인식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3 센서와 상기 센서와 통전되도록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1 센서는 상기 운전실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작업장치를 감지하는 제1 감지영역을 형성하고, 제2 센서는 상기 운전실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체의 측방영역을 감지하는 제2 감지영역을 형성하고, 제3 센서는 상기 운전실을 제외한 상기 상부체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2 감지영역에 대향하는 상기 상부체의 측방영역을 감지하는 제3 감지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SELF-DRIVING EXCAVATOR
Disclosed is an excavator with a sens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cavator comprises: an upper body having an operator cab in which a driver can board and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power generation device can be installed; a lower body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 front working device for performing work by having a boom extending from the upper body, an arm coupled to one end of the boom, and a bucket coupled to one end of the arm; first to third sensors mounted on the upper body to recognize terrain and obstacles;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s. The first sensor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operator cab to form a first sensing area for sensing the front working device. The second sensor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or cab to form a second sensing area for sensing a lateral area of the upper body. The third sensor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body excluding the operator cab to form a third sensing area for sensing a lateral area of the upper body facing the second sensing area.
본원에서는 센서가 부착된 굴삭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면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는 운전실과 동력발생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상부체와 상기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하부체와 상기 상부체로부터 연장되는 붐과 상기 붐의 일단에 결합되는 암과 상기 암의 일단에 결합되는 버킷을 구비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프론트 작업장치와 상기 상부체에 장착되어 지형 및 장애물을 인식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3 센서와 상기 센서와 통전되도록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1 센서는 상기 운전실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작업장치를 감지하는 제1 감지영역을 형성하고, 제2 센서는 상기 운전실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체의 측방영역을 감지하는 제2 감지영역을 형성하고, 제3 센서는 상기 운전실을 제외한 상기 상부체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2 감지영역에 대향하는 상기 상부체의 측방영역을 감지하는 제3 감지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SELF-DRIVING EXCAVATOR
자율주행 굴삭기
HONG HEE SEUNG (author) / KIM DONG MOK (author) / NAM HYUNG DO (author) / ROH CHI WON (author) / LEE SOO JUN (author)
2020-11-18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2F
Baggern
,
DREDGING
Distributed hydraulic driving system of excavator and excavator
European Patent Office | 2024
|Driving and recycling integrated excavator hydraulic system and excavator
European Patent Office | 2024
|Lifting hydraulic system of excavator driving cab and excavator
European Patent Office | 2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