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본 발명에 따른 보강형 화이버 스톤뻭은 내부에 골재가 담기되 측부망, 상부망 및 하부망으로 구획되되 상기 측부망의 둘레를 따라 덧댐질된 덧댐망, 상기 측부망 및 덧댐망의 둘레를 따라 연결된 측부망 보강 로프, 상기 상부망의 둘레를 따라 연결된 한 쌍의 입구 봉합 로프 및 상기 하부망의 하단부가 상기 화이버 스톤 r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인입된 하부망의 둘레를 따라 연결된 하부 조임 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망 및 하부망은 상기 입구 봉합 로프 및 하부 조임 로프에 의해 조여지면 상기 화이버 스톤뻭의 수평 단면적이 각각 입구 봉합 로프 및 하부 조임 로프의 조임 위치로 갈수록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을 통해 화이버 스톤뻭이 원반형의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되며, 화이버 스톤뻭에 수용되는 골재의 하중이 특정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부망 보강 로프가 상부망 및 덧댐망의 각 그물코에 엇갈리도록 연결되어 각 그물코들이 자유롭게 변형되지 않고 모양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보수 용이성을 높혀 종래에 일회성으로 사용되던 화이버 스톤뻭과는 달리 재사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형 화이버 스톤뻭은 내부에 골재가 담기되 측부망, 상부망 및 하부망으로 구획되되 상기 측부망의 둘레를 따라 덧댐질된 덧댐망, 상기 측부망 및 덧댐망의 둘레를 따라 연결된 측부망 보강 로프, 상기 상부망의 둘레를 따라 연결된 한 쌍의 입구 봉합 로프 및 상기 하부망의 하단부가 상기 화이버 스톤 r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인입된 하부망의 둘레를 따라 연결된 하부 조임 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망 및 하부망은 상기 입구 봉합 로프 및 하부 조임 로프에 의해 조여지면 상기 화이버 스톤뻭의 수평 단면적이 각각 입구 봉합 로프 및 하부 조임 로프의 조임 위치로 갈수록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을 통해 화이버 스톤뻭이 원반형의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되며, 화이버 스톤뻭에 수용되는 골재의 하중이 특정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부망 보강 로프가 상부망 및 덧댐망의 각 그물코에 엇갈리도록 연결되어 각 그물코들이 자유롭게 변형되지 않고 모양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보수 용이성을 높혀 종래에 일회성으로 사용되던 화이버 스톤뻭과는 달리 재사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Reinforced fiber stone-bag
보강형 화이버 스톤뻭
KWON TAE YEOUL (author)
2022-06-10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Stone protecting and reinforcing process and reinforced stone
European Patent Office | 2022
|Performance of Hybrid Fiber Reinforced ECC Containing Stone Industry Powder Waste
Springer Verlag | 2023
|